당신의 생각은 ‘당신만의 것’이 아니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EPFL)에서 개발한 BCI칩 | EPFL 자료사진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EPFL)에서 개발한 BCI칩 | EPFL 자료사진

인류 역사에서 우리는 기술을 이용해 꾸준히 인간의 신체 능력을 확장해왔다. 이제 그 도전의 최전선이 인간의 두개골 너머 뇌 속으로 향하고 있다.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기술,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Brain-Computer Interface)’가 그 주인공이다.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EPFL),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뉴럴링크(Neuralink) 등 몇몇 기관은 제한된 환경에서 90%에 이르는 정확도로 사람의 신경 활동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을 공개하며 세상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뇌에 이식한 칩이 뇌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사용자의 생각을 재구성하는 방식이다. 이는 단순히 입력장치를 손 대신 뇌로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인지적 능력 자체를 극적으로 확장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최근 고급 BCI 기술을 통해 장애인들이 스스로 컴퓨터를 제어하고 자기 생각을 텍스트로 표현하며, 자율주행 휠체어나 로봇 보조 장비를 생각만으로 움직이는 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장애인이 아닌 사람들에게도 이 기술의 영향력은 상당할 전망이다. 연구에 따르면, 머지않아 새로운 언어 습득이나 복잡한 기술 습득에 들어가는 시간이 최대 40%까지 단축될 수 있다. 즉 인간의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고, 노동 생산성 또한 극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 앞으로 이를 통해 사물을 조작하거나 복잡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 자체가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전망이다.

그러나 기술이 강력해질수록 그 기술이 지닌 윤리적 문제와 사회적 책임 또한 커지게 마련이다. 인간의 사고와 감정, 기억과 꿈까지 접근 가능한 BCI 기술의 등장은 인류에게 어떤 도전 과제를 안기게 될까? 인간의 뇌에서 데이터를 직접 가져온다는 것은 그 데이터가 인간의 가장 내밀한 생각과 감정, 기억 등을 담고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개인의 가장 깊숙한 프라이버시 영역을 건드리는 기술일수록 윤리적 시비는 더욱 심각하게 대두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BCI 기술의 대중화는 곧 인간의 생각과 감정이 데이터라는 형태로 빅테크 기업에 축적될 가능성을 의미한다. 만약 이 데이터가 유출되거나 악의적으로 사용된다면 사생활 침해 수준을 넘어서 인간의 존엄성 자체를 위협할 수 있다. 이렇게 얻은 정보는 사용자의 심리를 더욱 정밀히 조작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인간의 생각을 기업의 이익에 맞게 조정하거나 왜곡할 가능성까지 존재한다. 즉 인간의 내면적 자율성이 기술과 자본의 통제 아래 들어갈 위험이 있다.

어쨌든 기술 발전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AI의 발전을 막을 수 없는 것처럼 BCI에 의한 인류의 전례 없는 ‘인지적 업그레이드’를 막을 수는 없을 것이다. 결국 BCI라는 거대한 흐름 앞에서 우리가 가져야 할 태도는 기술의 경이로움에 무조건적 찬사를 보내는 것도, 위험성을 이유로 무작정 회피하는 것도 아니다. 기술이 가져올 변화를 냉정하고 투명하게 평가하면서 다양한 윤리적 문제와 사회적 영향을 미리 고민하고 준비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인간의 뇌가 컴퓨터와 연결되는 새 시대의 모습을 결정짓는 것은 결국 우리 자신이기 때문이다.

<류한석 IT 칼럼니스트>

IT 칼럼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