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일반기억’의 대중화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딥시크 로고 / 로이터연합뉴스

딥시크 로고 / 로이터연합뉴스

인공지능(AI)에는 의식이 없다. 결국 입력을 넣으면 출력하는 전산 설비에 지나지 않는다. 다만 세상의 모든 기억으로 학습된 다소 진보된 외장 기억장치라 할 수 있으니 루소의 일반의지는 되지 못해도 ‘일반기억’이라고는 충분히 불릴 만하다. 인간의 진짜 기억처럼 오염도, 환각도 벌어진다.

기억은 입력된 정보의 양과 질에 좌우된다. 출력 정보를 통제하려면 입력을 관리하면 된다. 그렇기에 각국은 제각각의 모델을 지녀야 한다는 ‘소버린 AI’(주권 AI) 국산품 생산 장려 운동에 매료된다. 유럽도 한국도 국가별 AI 순위에 집착하고 있다.

그러던 중 온 세상이 딥시크로 시끄러워졌다. 중국으로 향하는 반도체 수출을 막았으니 못 만들 줄 알았던 물건을 보란 듯이 만들어내고, 그 사본 또한 누구나 받아 내릴 수 있도록 공개해버렸다. 무역전쟁 중인 미국 정부, AI 챗봇의 대명사 오픈AI와 구글 그리고 오픈소스 AI 모델로 판을 새로 짜보려던 메타까지 갑자기 머쓱해져 버렸다. 주식시장도 요동쳤다.

딥시크가 엔지니어들 사이에서 알려진 지는 꽤 됐다. 품질은 챗GPT를 무색게 하는데, 무료라는 소문에 알음알음 쓰고 있었던 상태. 중국제인지도 몰랐고, 별 관심도 없었다. 뉴스를 먼저 보지 않았다면 일상 사용자들의 인식도 다르지 않았을 터다. 중요한 건 효용이었다. 한국어도 국산품 못지않게 잘한다.

갑자기 튀어나온 못은 망치를 부른다. 비판과 검증이 쇄도했다. 챗GPT 같은 기성품을 ‘증류’라는 방식으로 불법 사용해 만들었을지도, 개인정보가 다 수집되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한다. 중국은 정보의 무상 활용을 당연시하는 역사와 문화 안에 산다. AI 학습 자료를 모으는 데도 저작권을 그리 신경 쓰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니, 세계 어떤 모델보다 크고 광활한 데이터를 소화했을 수도 있다. 게다가 미제 모델로 몰래 단련했다면 관점의 다양성도 확보됐을 수 있다.

딥시크는 메타의 라마(Llama)처럼 모델이 오픈소스로 공개돼 있기에 누구나 가져다가 만져볼 수 있다. 온라인판 딥시크와 달리 오픈소스로 공개된 딥시크 모델을 자가 설정해서 쓰면 톈안먼(天安門) 사태 등 공산당에 민감한 정보도 태연히 알려준다. 딥시크는 전 세계의 일반기억이 될 소양을 실은 갖추고 있었다.

생성형 AI는 그 덩어리를 그대로 가져다가 ‘조율(파인튜닝)’하거나, RAG(검색증강생성)라 불리는 외부 정보를 외장하드 붙이듯 더해 나만의 AI를 만들 수 있다. 동일한 일반기억을 공산당식 소버린 AI 풍으로 검열 후 운영할 수도 있다.

전 세계 어디에서나 이러한 일반기억이 양산돼 흩어질수록 인터넷의 소중함은 옅어진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없던 시절 포켓 사전을 들고 다녔던 것처럼 우리는 일반기억을 인터넷 검색 대신 참조할 터다. 그게 조금이라도 더 편리하다면.

날것이 소화가 힘든 것처럼 인터넷의 살아 있는 정보에는 인지능력이 소모되니 피곤하다. 일반기억을 남이 추려서 떠먹여 주면 편하다. 낡아버린 정보일 수도 있지만 편하면 그만이다. 물론 유통기한이 지났을 수도 있고, 첨가물이 잔뜩 들어 있을 수도, 근본적으로 썩었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사전의 판올림처럼 갱신하면 그만일 수도 있다. 인터넷이 발견되기 전까지 익숙했던 방식처럼.

딥시크의 등장과 품질은 그러한 미래를 엿보여주고 있다.

<김국현 IT 칼럼니스트>

IT 칼럼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