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커버그의 변심과 본심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의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버그. AFP연합뉴스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의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버그. AFP연합뉴스

“저는 페이스북을 기술 기업으로 생각하지만, 단순히 정보가 흐르는 기술을 구축하는 것 그 이상의 더 큰 책임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2016. 12. 15)

“이제 표현의 자유라는 우리의 뿌리로 돌아갈 때입니다. 팩트체커를 커뮤니티 노트(Community Notes)로 대체하고, 정책을 간소화하며, 실수를 줄이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장을 기대합니다.”(2025. 1. 7)

마크 저커버그 메타(옛 페이스북) CEO의 변심은 새롭지 않다. 그의 철학과 신념에 일관성이 없다는 사실은 이미 증명된 터다. 저널리즘 프로젝트를 둘러싼 페이스북의 극적인 ‘표변’은 상징적이다. 2017년 1월 페이스북 저널리즘 프로젝트를 출범시킬 당시, 그가 바라보는 허위조작정보에 대한 관점은 비교적 합리적이었다. 뉴스 리터러시를 지원하고 팩트체커 전문기관과 협업을 선언하며 책임을 다하는 듯했다. 기술이 ‘건강한 정보 유통’의 마지막 보루라고 착각하게끔 하기도 했다. 플랫폼으로서 “더 큰 책임”을 강조하며 ‘윤리적 기술 플랫폼’으로서 위상을 되찾기 위해 애쓰는 것 같기도 했다.

올해 초 그의 입 밖으로 나온 발언들은 2016년의 그와 동일 인물인가를 의심케 했다. 그는 수년간 페이스북과 협력해 허위정보를 최전선에서 방어해왔던 팩트체커들을 “너무 정치적으로 편향돼 있어 많은 신뢰를 무너뜨려 왔다”고 비난했다. 인종차별, 폭력 선동, 혐오 표현 등과 보상 없이 싸워왔던 독립 저널리스트들을 ‘미국식 표현의 자유를 위협하는’ 검열의 주체로 끌어내렸다. 반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을 향해선 “그와 협력해 전 세계 정부를 압박할 것”이라며 옹호했다. 유럽과 라틴아메리카, 중국을 손꼽으며 “이들에게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미국 정부의 지원뿐”이라고 거들었다. 변심 아닌 그의 본심이 마침내 터져 나온 순간이었다.

실리콘밸리와 워싱턴 권력의 동맹은 저커버그의 ‘본심’ 고백과 함께 현실이 됐다. 한때 주짓수 대결도 불사했던 저커버그와 일론 머스크는 새 동맹의 일원으로 손을 맞잡았다. 여기에 제프 베이조스까지 합세했다. 이젠 정치 권력을 방관하고 로비자금을 지원만 하던 과거의 실리콘밸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워싱턴과 결탁한 실리콘밸리는 저커버그의 선언처럼, 빅테크 견제 세력을 강력하게 압박할 것이다. 실리콘밸리식 ‘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를 부르짖으며 EU와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국가에 압력을 가하기도 할 것이다. 미국식 ‘표현의 자유’를 명분으로 각종 허위조작정보의 흐름을 노골적으로 방임할 것이다. ‘고삐 풀린’ 실리콘밸리의 무모한 직진을 막아서지 않는다면 모든 불행의 피해는 전 세계로 화마처럼 번질지도 모른다.

저커버그의 ‘본심’과 함께 몰려올 위험천만한 기술권력의 오만을 누가, 어떻게 견제할 수 있을까. 허위사실 유포 등의 이유로 엑스(X)의 차단을 명령했던 브라질 대법관 알렉상드르 지 모라이스 같은 지도자 몇 명만 더 있다면 이 추악한 질주를 통제할 수는 있을 것이다. 문제는 트럼프-실리콘밸리의 브로맨스에 그처럼 배짱 있게 맞설 인물이 그리 많지 않다는 데 있다. 결국 워싱턴에 올라탄 실리콘밸리 권력을 길들일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은 기술 권력의 분산 즉 AT&T식 해체 모델(1984년 미국 정부, 반독점 소송 통해 통신업체 AT&T 해체)일지도 모른다.

<이성규 미디어스피어 대표>

IT 칼럼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