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날리기’ ‘썰매타기’ 우표로 나온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우정사업본부가 전통 민속놀이인 ‘연날리기’와 ‘썰매타기’ 기념우표를 발행한다. 우정사업본부 제공

우정사업본부가 전통 민속놀이인 ‘연날리기’와 ‘썰매타기’ 기념우표를 발행한다. 우정사업본부 제공

겨울철 이웃들과 한데 모여 즐기던 한국 전통 민속놀이인 ‘연날리기’와 ‘썰매타기’를 기념하는 우표가 발행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11월 14일부터 우리나라 민속놀이인 ‘연날리기’와 ‘썰매타기’를 소재로 한 기념우표 57만6000장을 발행한다. 기념우표에는 한복을 입은 아이들이 연을 날리고, 썰매를 타는 모습이 담겼다. 기념우표는 가까운 총괄우체국이나 인터넷 우체국에서 구매할 수 있다. 앞서 우정사업본부는 활쏘기, 투호, 팽이치기, 윷놀이 등 민속놀이 기념우표를 발행했다.

연날리기는 종이에 가는 대나무 살을 붙여 실을 연결한 뒤 이를 바람을 이용해 하늘에 띄우는 놀이다. 계절과 상관없이 바람이 부는 날이면 즐기기 좋다. 과거에는 음력 정월 초하루부터 보름까지 연을 날리면서 액운을 쫓고, 평안을 기원하는 풍습이 있었다. 원래 연날리기가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됐다는 해석도 있다. 신라 시대 김유신 장군이 연을 이용해 반란을 진압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연은 바람을 타고 올라가기 때문에 바람이 흐르는 방향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을 날릴 때는 사람의 연과 사람의 앞가슴이 45도 각도로 마주 보도록 하고, 연줄을 직선에 가깝도록 팽팽하게 당기는 게 좋다.

연을 활용한 놀이도 여럿이다. 우선 가장 높이 연을 띄우는 것이 있다. 이때는 줄 길이가 중요하다. 바람 상황에 따라 줄을 풀고 당기는 기술도 필요하다. 연을 조종해 공중곡예를 선보이는 놀이도 있다. 또 공중에 뜬 연을 서로 엇갈리게 놓아 서로의 연줄을 끊는 ‘끊어먹기’ 놀이도 있다. 이때 연실의 질김도 중요하지만, 연을 얼마나 정교하고 날렵하게 다루는지가 승패를 가르는 요소다.

연날리기가 사시사철 즐길 수 있는 놀이라면 썰매타기는 대표적인 겨울철 민속놀이다. 널빤지를 이용해 만든 썰매를 얼음판이나 눈 위에 놓고 미끄럼을 타면서 논다. 놀이공원에서 볼 수 있는 범퍼카의 ‘원조’로 볼 수 있다.

썰매는 원래 사람이나 짐을 옮기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됐지만, 점차 아이들의 놀이로 바뀌었다. 썰매의 한자어 표기는 설마(雪馬)·설응(雪鷹)인데, 눈 위에서 말이나 매처럼 빠르게 달린다는 뜻을 담고 있다. 썰매 바닥에는 대나무나 쇠줄을 박아 잘 미끄러지게 하는 게 중요하다.

썰매를 탈 때는 양손에 진 쇠꼬챙이 같은 것으로 속도를 내거나 방향전환을 할 수 있다. 다만 꼬챙이만으로는 속도를 내기 어려우므로 보통 평지에서는 누군가가 썰매를 밀어주는 방식으로 타는 게 일반적이다. 썰매를 좀 타본 사람이라면 꼬챙이를 쓰지 않고 몸의 무게를 활용해 방향을 쉽게 바꾸기도 한다. 여러 썰매를 한 줄로 이어 붙여 밀거나 당기는 ‘기차놀이’ 방식도 있다.

썰매의 속도를 높이려면 바닥의 날이 좋아야 한다. 날이 정확히 평행을 이루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땅의 경사를 이용해 속도를 높이는 방법도 있다. 경사진 곳에서 누워서 타면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려 썰매 속도는 빨라지지만, 부상 위험도 덩달아 커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과거 산간지대에서는 사냥꾼이 곰이나 멧돼지를 잡기 위해 눈썰매를 활용하기도 했다.

<김세훈 기자 ksh3712@kyunghyang.com>

우정 이야기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