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해녀가 될 수 있을까. 제주 해녀 문화가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뒤 많은 주목을 받았지만 정작 해녀 수는 점점 줄어 소멸위기인 상황을 취재하면서 한번 상상해봤다. 잠수복을 입어야 하고, 숨을 오래 참아야 하고, 수 미터 깊이의 바닷속에 들어가야 하고, 수영을 잘해야 하고, 해산물을 찾아야 하고…. 제주엔 해녀학교가 있어 외지인도 해녀가 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고 하니 그곳에서 배우면 될 것이다. 쉽진 않겠지만 여차저차 공부하고 익숙해지면 가능할 것도 같다.
그런데 취재를 하면 할수록 해녀가 되기 어려운 이유는 ‘기술’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진정 어려운 것은 해녀들 사이에 녹아 있는 ‘공동체 문화’였다. 해녀들은 바다에 들어가기 전후 불턱(해녀들의 쉼터)에 모여 이야기를 나눈다고 한다. 어떻게 지냈는지 서로 안부를 묻고, 마을에 무슨 일이 있으면 일종의 의사결정도 이 불턱에서 한다. 실력이 좋든 안 좋든, 나이가 많든 적든 채취한 해산물을 함께 나누는 문화도 있다. 젊은 해녀가 낳은 아이를 마을의 해녀 할머니들이 함께 키운다고 할 정도로 끈끈하게 연결돼 있다.
이런 공동체 문화는 무한경쟁, 각자도생, 이기주의 시대를 사는 청년이 보기에 다소 어색하다. 지금 청년들은 협동해 무언가를 성취하고 함께 나누는 것보다는 나 혼자 먹고살기 바쁜 세대다. 관계는 단절돼 있고 일상의 희로애락을 나눌 대상도 찾기 힘든, 그런 세대다. 해녀들을 위협하는 기후위기와 바다 오염도 어찌 보면 공동체 문화의 상실 때문이다. 올해 지독하게 덥고 긴 여름을 날 때 우리 집은 에어컨을 뻥뻥 틀어 시원함을 유지하면서도 집 바깥의 지구온난화는 크게 신경 쓰지 않았다. 매일 쓰레기를 만들고 버리면서도 어디에 묻히는지,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해보지 않았다. 그 결과를 온몸으로 느끼는 건 해녀들이었다.
한 청년 해녀는 “매일 바다에 나가고, 매일 바다가 이상해진다는 것을 느낀다”고 했다. 40년 가까운 경력의 다른 해녀는 “우리 집을 가꾸듯이 바다를 사랑한다면 바다 환경은 좋아질 것”이라고 했다. 우리가 계승해야 할 해녀 문화란 어떤 것인지, 무엇이 소멸하고 있는지 제대로 곱씹어 봐야겠다.
<이혜리 기자 lhr@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