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쓰는 ‘고래의 역사’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다정한 거인

남종영 지음·곰출판·2만9000원

[신간] 새로 쓰는 ‘고래의 역사’

‘육지에서 바다로 돌아간 포유류’인 고래는 16세기 후반까지도 사람들에게 신비로우면서 두려운 존재였다. 11세기 유럽 바스크족이 문을 연 ‘상업 포경’은 고래 개체 수가 급감하는 결과를 낳았고, 1986년에야 금지됐다. 20세기 고래들은 동물원쇼를 위해서도 착취당했다. 그러다 점점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의식이 높아지면서 고래는 ‘다정한 거인’으로 재조명됐다. 특히 2010년대를 전후해 큰 변화를 맞는다. 한국에선 2013년 돌고래쇼를 하던 남방큰돌고래 제돌이가 제주 앞바다에 방사됐다. 최근엔 고래가 법적 권리의 주체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환경저널리스트인 저자는 최근 10여 년간의 변화를 지켜보며 ‘고래의 역사를 새로 써야 할 때’라고 생각했다. 이 책은 고래의 역사, 고래와 인간관계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풀어썼다. 고래에 관한 최근의 과학적 담론과 사회운동도 다뤘다. 고래가 바닷가에서 죽는 ‘좌초’ 현상은 왜 일어나고 고래가 사회적 동물이라는 근거는 무엇일까. 낮잠 자는 고래 모습은 또 어떨까. 고래를 알아가는 재미가 있다.

우리 모두는 어린이였다

김지은 외 지음·교육공동체벗·1만9000원

우리 모두는 어린이였다

우리 모두는 어린이였다

저출생 시대라서 어린이가 귀하게 대접받을 것 같지만 어린이를 환대하는 곳은 많지 않다. 대놓고 ‘노키즈존’을 써 붙인 가게처럼 어린이를 차별하는 공간도 적잖다. 어린이 인권과 돌봄에 대한 논의는 점점 축소되는 사회 분위기, 놀 공간이 부족한 도시환경, 과도한 학업 스트레스…. 어린이들이 행복할 수 있을까. 입양원 봉사자, 특수학교 교사, 인권운동가, 아동청소년 문학평론가, 기자 등 어린이가 사회구성원으로서 행복하길 바라는 어른 12명이 이 책을 썼다. 어린이라는 존재를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철학적 관점을 제시하고, 어린이와 함께 사는 사회에 대한 고민을 다룬다.

K-POP 원론

노마 히데키 지음·연립서가·3만3000원

[신간] 새로 쓰는 ‘고래의 역사’

<한글의 탄생>(2011)으로 잘 알려진 언어학자 노마 히데키 일본 국제교양대학 객원교수가 ‘K팝’을 언어학·미학적 관점에서 분석했다. 현대미술가이기도 한 그는 K팝을 말과 소리, 빛, 신체성이 통합된 종합예술로 정의한다.

시대예보: 호명사회

송길영 지음·교보문고·2만2000원

[신간] 새로 쓰는 ‘고래의 역사’

빅데이터 전문가인 저자는 최근의 사회·기술 변화 속에서 개인들이 더 조직 뒤에 숨을 수 없고, 숨을 필요도 없다고 진단한다. 자립적인 개인들이 서로 대등한 관계에서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호명사회’가 올 것이라고 내다본다.

초가공식품, 음식이 아닌 음식에 중독되다

크리스 반 툴레켄 지음·김성훈 옮김·웅진지식하우스·2만3800원

[신간] 새로 쓰는 ‘고래의 역사’

우리는 ‘썩지 않는 햄버거’에 놀라면서도 초가공식품이 너무 익숙해서 얼마나 자주 먹으며, 또 얼마나 유해한지 알지 못한다. 의학전문기자인 저자는 연구 결과는 물론 직접 식생활 실험을 통해 초가공식품의 유해성을 파헤친다.

<김향미 기자 sokhm@kyunghyang.com>

신간바로가기

이미지
용산의 역경루
오늘을 생각한다
용산의 역경루
공손찬은 중국 후한 말 북방민족들이 이름만 들어도 벌벌 떨 정도로 위세를 떨쳤던 화북의 군벌이다. 오늘날 베이징 근처 유주를 근거지로 세력을 키웠던 공손찬은 백마의종이라는 막강한 기병대를 중심으로 황건적과 만리장성 넘어 이민족들을 토벌하며 군세를 넓혀갔다. 탁월한 군사적 재능을 갖췄으나 성품이 포악했던 공손찬은 폭정을 일삼으며 민심을 크게 잃는다. 왕찬이 기록한 <한말영웅기(漢末英雄記)>에 의하면 공손찬은 자신의 얼굴을 똑바로 쳐다본다는 이유로 부하를 죽이는가 하면 유능한 관료들을 쫓아내고 점쟁이를 측근에 등용하는 등 막장 행각을 벌였다. 하루는 백성들 사이에서 덕망 높았던 관리 유우를 저자에 세워놓고 ‘네가 천자가 될 인물이라면 비가 내릴 것이다’라고 말한 뒤 비가 내리지 않자 그 자리에서 죽여버렸다. 분개한 수만의 유주 백성들은 유우의 아들과 합세해 공손찬을 공격했고, 라이벌 원소와 이민족들까지 연합해 공격하니 공손찬은 고립무원에 처한다. 사방이 포위된 공손찬은 기주 역현에 거대한 요새를 짓고 농성에 들어가니 이 요새가 역경성이다. 자신의 남은 전력을 요새 건설에 쏟아부은 공손찬은 “300만석의 양곡을 다 먹고 나면 천하정세가 달라질 것이다”라고 말하고 외부와 연락을 끊은 채 향락에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