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 전 상주 말 사건, 그리고 김건희 여사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정용인 기자

정용인 기자

뭔가 이상한 기류를 느꼈던 것은 이른바 ‘상주 말’ 사건이 국회 상임위에서 거론됐을 때였습니다. 박근혜 정권 초기인 2013년 4월 경북 상주에서 한국마사회컵 전국승마대회가 열렸는데, 당시 청담고 2학년이었던 정유라(개명 전 이름 정유연)가 이듬해 아시안게임 출전권이 걸린 1등이 아닌 2등으로 입상했고 이와 관련해 심판들이 경찰 수사를 받았다는 풍문이었습니다. 상임위에서 ‘비선 실세 최순실’이 언급되자 당시 여당이었던 새누리당 의원들이 총궐기해 의혹을 제기한 당시 민주당 의원을 국회에서 제명해야 한다는 둥 ‘오버 액션’을 해 더 주목받았습니다. 그게 2014년 4월이었습니다. 사건이 나고 1년 뒤의 일이지요. 최순실 국정농단이 본격적으로 불거지게 된 것은 2016년 하반기에 들어서면서입니다. 박근혜 대통령 임기 4년 차입니다.

“요즘 돌아가는 상황이 심상치 않다. 뭔가 데자뷔를 느끼지 않냐”는 이야기를 많이 듣습니다. 서울 여의도 국회 주변의 정치평론가들만이 아닙니다. 사적인 지인들에게도 많이 듣는 말입니다.

상황은 탄핵 전야였던 2016년과 비슷합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아직 윤석열 대통령의 임기가 반환점도 돌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탄핵과 임기 단축·조기 대선의 실현 가능성’을 취재하면서 가장 주의 깊게 들어보려고 했던 건 국민이 느끼는 ‘탄핵 학습 효과’가 어떤 양상일까라는 것이었습니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임시정부 때 이승만을 제외한다면 대한민국 헌정사에 없던 탄핵을 이미 한차례 경험한 것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알 수 없어서입니다. 일종의 면역 효과라고 할까요. ‘이슈를 이슈로 덮는 것으로 대응한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무슨 일이 벌어져도 ‘이 정권에서는 충분히 있을 만한 일’ 정도로 생각하고 넘어가게 되는 것 말입니다.

이번 주 다른 취재를 하면서 정치권 출신 한 평론가에게서 들은 말이 인상 깊어 덧붙여둡니다.

“사실 널리 쟁점이 되지 않아서이지 역대 정부 모두 ‘영부인 이슈’는 없지 않았다. 친인척 비리부터 사생활을 둘러싼 소문까지. 확인될 수 없는 이야기도 많고 하니 ‘뭐 그런가 보다’ 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지금 야당이 김건희 여사 문제를 밀어붙이는 건 과장하는 것일까. 아니다. 내가 알지 못한 별 희한한 정보를 국회의원들이 많이 갖고 있다는 뜻이다.” 독자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정용인 기자 inqbus@kyunghyang.com>

취재 후바로가기

이미지
용산의 역경루
오늘을 생각한다
용산의 역경루
공손찬은 중국 후한 말 북방민족들이 이름만 들어도 벌벌 떨 정도로 위세를 떨쳤던 화북의 군벌이다. 오늘날 베이징 근처 유주를 근거지로 세력을 키웠던 공손찬은 백마의종이라는 막강한 기병대를 중심으로 황건적과 만리장성 넘어 이민족들을 토벌하며 군세를 넓혀갔다. 탁월한 군사적 재능을 갖췄으나 성품이 포악했던 공손찬은 폭정을 일삼으며 민심을 크게 잃는다. 왕찬이 기록한 <한말영웅기(漢末英雄記)>에 의하면 공손찬은 자신의 얼굴을 똑바로 쳐다본다는 이유로 부하를 죽이는가 하면 유능한 관료들을 쫓아내고 점쟁이를 측근에 등용하는 등 막장 행각을 벌였다. 하루는 백성들 사이에서 덕망 높았던 관리 유우를 저자에 세워놓고 ‘네가 천자가 될 인물이라면 비가 내릴 것이다’라고 말한 뒤 비가 내리지 않자 그 자리에서 죽여버렸다. 분개한 수만의 유주 백성들은 유우의 아들과 합세해 공손찬을 공격했고, 라이벌 원소와 이민족들까지 연합해 공격하니 공손찬은 고립무원에 처한다. 사방이 포위된 공손찬은 기주 역현에 거대한 요새를 짓고 농성에 들어가니 이 요새가 역경성이다. 자신의 남은 전력을 요새 건설에 쏟아부은 공손찬은 “300만석의 양곡을 다 먹고 나면 천하정세가 달라질 것이다”라고 말하고 외부와 연락을 끊은 채 향락에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