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 소리 내고 듣기까지…부레의 역할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남태평양 팔라우

[박수현의 바닷속 풍경](49) 소리 내고 듣기까지…부레의 역할

물속을 다니다 보면 물고기들이 가만 머물러 있거나 별다른 노력 없이 아래위를 오가는 것을 볼 수 있다. 물고기들의 노련하면서도 우아한 움직임의 비밀은 어디에 있을까. 정답은 바로 몸속의 공기주머니인 부레에 있다. 어류는 부레 속 기체량을 조절하면서 상승하거나 하강하며 중성 부력을 유지한다. 부레 속에 저장된 기체는 공기와 같이 산소와 질소, 약간의 이산화탄소 등의 혼합물인데, 혼합비는 공기와 다르다. 또 종류나 서식처에 따라 차이가 있다. 보통 민물 어류는 산소량이 적고, 바다 어류는 깊은 곳에 사는 것일수록 산소량이 많다.

부레는 경골어류가 가지는 특징이다. 상어, 가오리 등 연골어류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지구상에 생명체가 탄생한 이후 원시 허파를 가진 어류가 있었는데, 이 허파가 부레로 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허파를 가진 어류는 6종으로 호주, 아프리카, 남미의 아마존 등에 살고 있으며, 모두 민물 어류다. 이들은 늪지나 고여 있는 물속이라는 산소가 부족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아가미 외에 추가로 허파가 있다. 허파 외에 별도의 공기 호흡기관을 가진 민물 어류도 있다. 미꾸라지나 메기는 장호흡을 하고, 가물치 등에는 래버린스(Labyrinth)라는 공기 호흡기관이 있다. 상대적인 개념이지만 바닷물고기 중 아가미 외에 별도의 공기 호흡기관을 가진 어류가 없는 것은 바다에는 해류와 항상 파도가 치는 등 고립된 민물 환경보다는 상대적으로 산소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부레는 어류 몸의 비중을 조절하는 일 외에도 여러 역할을 맡는다. 귀와 연결돼 청각 또는 평형감각을 담당하기도 하며, 조기 등 일부 어류는 부레로 소리를 내기도 한다. 한편 민어나 철갑상어 부레로 만든 부레풀은 예로부터 최고의 접착제로 대접받고 있다.

<박수현 수중사진가>

박수현의 바닷속 풍경바로가기

이미지
대한민국 최정예 겁쟁이들
오늘을 생각한다
대한민국 최정예 겁쟁이들
제2차 세계대전 전범의 아들 노다 마사아키가 쓴 <전쟁과 죄책>에는 포로의 목을 베라는 상관의 명령을 거부한 병사의 이야기가 나온다. 일본 관동군 중대장으로 근무했던 도미나가 쇼조의 증언에 따르면 중국 후베이성에서 포로를 베는 ‘담력’ 교육 도중 한 초년 병사가 “불교도로서 할 수 없습니다”라며 명령을 거부했다. 불교도로서 ‘살생하지 말라’는 계율을 지키려 했던 이 병사에게는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았다. 홀로코스트 연구자 크리스토퍼 R. 브라우닝이 쓴 <아주 평범한 사람들>에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학살 임무를 거부하고 총기를 반납한 나치 대원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독일 101예비경찰대대 빌헬름 프라프 대대장은 유대인 학살 임무에 투입되기 직전 병사들에게 “임무를 감당할 자신이 없다면 앞으로 나오라”고 지시했다. 그러자 10명 남짓 병사가 앞으로 나왔고, 그들은 소총을 반납하고 대기했다. 그 병사들에게는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았다. 각 부대에서 학살 임무를 거부한 병사와 장교들이 속출했지만, 나치 독일의 가혹했던 군형법은 이들에게 명령불복종죄를 비롯한 어떠한 형사처벌이나 징계도 내리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