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 연속 1등 택배 ‘우체국소포’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국토교통부 택배서비스 평가에서 9년 연속 최우수등급을 받은 우체국소포/ 우정사업본부 제공

국토교통부 택배서비스 평가에서 9년 연속 최우수등급을 받은 우체국소포/ 우정사업본부 제공

우체국소포(택배)가 국토교통부 택배서비스 평가에서 9년 연속 최우수등급을 받았다.

국토부는 지난 4월 8일 택배서비스 업체 19개와 우체국소포를 대상으로 서비스 평가를 실시한 결과 우체국소포가 일반택배 분야에서 개인 간(C2C) 부문과 기업-개인(B2C) 부문 모두 가장 우수한 A+ 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기업택배(B2B) 분야에서는 경동택배와 합동택배가 최고 등급인 A++를 받았다.

평가는 배송률, 화물 사고율 등 택배사별 기초 평가자료에 일반인으로 구성된 전문평가단(C2C 100명·B2C 200명)과 택배사당 30명씩으로 구성한 종사자 설문조사를 더해 진행했다.

과정품질 영역에서 고객 응대의 친절성과 적극성 등을, 결과품질 영역에서 배송의 신속성·안전성과 종사자 보호 수준 등을 평가했다.

국토부는 일반택배와 기업택배 모두 배송의 신속성(일반 95.3점·기업 94점)과 안전성(일반 98.6점·기업 98점) 영역의 평균점수가 높았고, 익일 배송률은 대부분의 택배사가 우수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일반택배는 택배사들의 고객 요구 응대가 적극적이지 않았고, 기업택배는 종사자 보호 영역의 평균점수가 지난해(86점)보다 감소(82.9점)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일반택배 분야에서 9년 연속 1등을 차지한 우정사업본부는 1999년 8월 1일부터 택배 사업을 시작했다. 명칭은 방문소포에서 우체국택배를 거쳐 현재는 우체국소포를 사용하고 있다. 2015년부터 국토부 서비스 평가에 참여했다.

우편법은 소포우편물을 ‘통상우편물 외의 물건을 포장한 우편물’로 정의한다(제1조의2 제3호). 접수 유형에 따라 창구소포와 방문소포(접수)로 나뉜다.

창구소포는 고객이 우체국을 방문해 접수하는 소포우편물로 기록 취급 여부에 따라 등기소포와 일반소포로 구분한다.

방문소포는 우체국 집배원이나 소포원이 계약·일반 고객을 방문해 접수하는데 기록 취급이 되는 등기소포만 가능하다.

우정사업본부 내에서는 창구소포와 방문소포 모두 택배 사업(소포우편물)으로 보지만 국토부의 서비스 평가는 방문소포만을 대상으로 한다.

우체국소포 물량은 2018년 2억1444만 통에서 지난해 2억2227만 통으로 3.7%, 매출은 같은 기간 4956억원에서 5506억원으로 11.1% 늘었다.

우체국소포는 다른 기관의 평가에서도 민간업체를 제쳤다. 지난해 한국생산성본부의 국가고객만족도(NCSI) 조사 택배·소포서비스업 부문에서 롯데와 함께 79점을 받으며 17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CJ대한통운과 한진은 모두 78점이었다.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의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KCSI) 조사에서도 우체국소포는 택배·소포서비스업 부문에서 83.9점을 받아 6년 연속 1위를 달성했다. 그 뒤는 CJ대한통운(82.1점), 롯데(82.1점), 한진(78.8점) 순이다.

<유희곤 기자 hulk@kyunghyang.com>

우정 이야기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