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베트남 부동산의 매력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공사가 중단된 호찌민 5성급 호텔 건설 현장/VNA

공사가 중단된 호찌민 5성급 호텔 건설 현장/VNA

지난 11월 24일 베트남 언론은 304조베트남동(약 16조4000억원)을 횡령한 베트남 최대 부동산 재벌 반 띤 팟(Van Thinh Phat) 그룹 회장의 기소 소식을 일제히 보도했다. 2022년 10월 불법 채권 발행으로 전격 체포된 반 띤 팟 그룹의 쯩 미 란(Truong My Lan) 회장은 자신과 특수관계자들이 최대주주로 있는 사이공상업은행 (SCB)에서 유령 회사 1000개를 통해 불법 허위 대출을 받아 가로챈 혐의를 받는다. 304조베트남동은 베트남 전체 GDP의 5%에 해당하는 천문학적인 금액이다. 당시 이 사건으로 인해 베트남 금융당국은 고강도의 기업 부실 대출을 수사해 추가로 몇몇 건설사와 식품 대기업 회장 일가를 구속했다. 불법을 엄단하는 중앙정부의 단호한 조치는 명쾌했으나 이로 인해 부동산 개발업체와 건설사에 대한 대출이 중단되면서 신용 경색 위기를 불러왔다는 평가도 나온다.

대출이 어려워지며 베트남 4위 규모 건설사이자 호찌민 최대 건설사인 노바랜드(Nova Land)를 비롯한 수많은 건설사와 부동산 개발사들의 주가가 70% 이상 폭락하고 부도 직전 상태에 몰렸다. 2023년 상반기 베트남 전국에서 사업이 중단된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는 1200여 건으로 모두 800조동(약 43조억원)에 달했다. 화들짝 놀란 베트남 당국은 3월 15일 1% 금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효과가 없자 15일 만에 추가로 0.5%를 추가로 인하했다. 그러고도 5월과 6월 한 달 간격으로 각각 0.5% 금리를 다시 인하했다. 3개월 만에 금리를 2.5%나 인하하는 초강수를 둔 셈이다.

위기에 몰린 부동산 개발업체들은 미분양 물량을 30%에서 최대 50%까지 할인하며 최대한 물량을 털어내려고 애썼다. 일부 건설사는 할인 금액 중 일부를 회사 주식으로 내주기도 하고 갚지 못한 채권을 개발이 중단된 부동산으로 맞바꾸자고 협상하기까지 했다. 베트남 일간지 뚜오이 쩨(Tuoi Tre)의 8월 보도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베트남 은행들의 전체 대출 중 21%가 부동산 관련으로 각 은행도 부실채권 정리를 위해 담보자산 매각에 나섰다. 베트남 정부는 얼어붙은 건설업계를 살리기 위해 비농업 토지 취득세와 다주택 소유에 대한 과세 및 양도세 인상 계획을 모두 폐지했다.

케펠랜드가 소유한 베트남 호찌민의 랜드마크 사이공센터/케펠랜드 홈페이지

케펠랜드가 소유한 베트남 호찌민의 랜드마크 사이공센터/케펠랜드 홈페이지

베트남 건설업계의 위기로 매력적이고 값싼 물량이 넘쳐나자 외국 투자자들은 베트남 부동산을 대거 사들이고 있다. 베트남 일간 뚜오이 쩨는 싱가포르 부동산 투자 개발 업체 케펠랜드(Keppel Land), 프레이저스 프로퍼티(Frasers Property)와 태국의 최대 부동산 개발 업체 와(WHA) 그룹, 태국의 최대 유통기업 센트럴 리테일(Central Retail) 그룹 등이 적극적으로 주거지, 상업용, 산업용 부동산 등의 프로젝트 M&A를 끝내거나 계속해서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1992년 베트남에 진출한 케펠랜드는 지분 20%를 보유한 싱가포르 국부펀드인 테마섹이 최대주주로,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전체 투자 포트폴리오가 약 123억달러 중 베트남 비중은 12.4%로 모두 15억달러(약 2조억원)를 베트남에 투자하고 있다.

케펠랜드는 베트남의 부동산 가격이 매력적으로 하락하자 올 3월 토지를 포함한 총 개발 비용 4억4300만달러짜리 프로젝트의 지분 49%를 1억3800만달러(약 1800억원)에 인수하고 7월에는 2025년 완공 예정인 쇼핑몰 지분 투자에 5120만달러(약 670억원)를 투입했다. 케펠랜드는 현재에도 다양한 프로젝트 인수를 위해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케펠랜드의 CEO인 로친화(Loh Chin Hua)는 지난 3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친 닛케이 아시아(Nikkei Asia)와 인터뷰에서 “2017년부터 중국 자산은 매각하고 있으며 베트남은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으로 부동산뿐만 아니라 데이터센터와 폐기물 에너지 사업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베트남에 진출한 지 10년이 넘은 한국계 건설사와 투자자문사에 근무하는 복수의 전문가들은 “홍콩에서 빠져나간 자본이 싱가포르를 통해 베트남에 대거 투자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화교 자본들이 연말까지 최대한 유리한 조건에서 부동산을 매입하기 위해 끈질긴 협상을 하고 있다”고 상황을 분석했다.

[가깝고도 먼 아세안](23)베트남 부동산의 매력

세계적인 신용평가회사 피치는 지난 7월 18일 홈페이지에 게시한 보고서에서 “베트남 부동산 문제는 심각한 단계는 넘겼다”며 “부동산 부문의 금융 거품을 억제하려는 베트남 정부가 시장을 안정시켰다”고 평가했다. 또한 “부분적으로 향상된 투명성과 문제에 대하는 정책이 향후 (국가) 등급을 상향시킬 수도 있다”며 베트남 정부의 대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지난 5월에 긍정적인 전망과 함께 부여한 베트남 신용등급 BB는 견고하다며 부동산 문제가 베트남 신용등급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지난 10월 27일 로이터 보도를 보면 또 다른 글로벌 신용평가사 S&P 글로벌의 동남아시아 기업 평가 책임자인 장 자비에르(Jean Xavier) 역시 “베트남 부동산 문제가 더 이상 대규모로 확산할 위험은 없다”라고 밝혔다. 자비에르는 베트남의 부동산 관련 대출은 약 25%에 달하며 주로 모기지를 통해 이루어졌지만, 베트남 고용이 견고해 부실 위험은 없다고 분석했다. 2022년부터 불거진 중국의 초대형 부동산 개발업체인 헝다, 완다, 비구이위안의 연쇄 부도 위기로 베트남이 또 다른 중국이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에 대해 자비에르는 “베트남은 중국만큼 부동산 공급 과잉 상태가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하지만 한국 기업들이 베트남 부동산에 투자할 때는 차분하게 끈질긴 협상을 통해 유리한 조건으로 계약을 맺기보다는 오너나 경영진이 즉흥적으로 판단해 손해를 보는 사례가 많다. 10여 년 전 국내 굴지의 한 대기업은 하노이에 100억원이 넘는 고급 아파트를 짓겠다고 1000억원이 넘는 돈을 투자했다가 대부분 손해를 봤다. 또 다른 모 대기업은 상업 시설로 지은 건물을 호텔로 변경 허가를 받을 수 있다는 브로커의 말에 속아 낭패를 보기도 했다. 베트남 부동산 개발에 투자하려는 기업들은 서두르지 말고, 법적인 문제가 모두 해결된 프로젝트 중심으로 살펴보는 화교들의 꼼꼼한 투자 방식을 잘 연구해야 한다.

<호찌민 | 유영국 <베트남 라이징>·<왜 베트남 시장인가> 저자>

이미지
대한민국 최정예 겁쟁이들
오늘을 생각한다
대한민국 최정예 겁쟁이들
제2차 세계대전 전범의 아들 노다 마사아키가 쓴 <전쟁과 죄책>에는 포로의 목을 베라는 상관의 명령을 거부한 병사의 이야기가 나온다. 일본 관동군 중대장으로 근무했던 도미나가 쇼조의 증언에 따르면 중국 후베이성에서 포로를 베는 ‘담력’ 교육 도중 한 초년 병사가 “불교도로서 할 수 없습니다”라며 명령을 거부했다. 불교도로서 ‘살생하지 말라’는 계율을 지키려 했던 이 병사에게는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았다. 홀로코스트 연구자 크리스토퍼 R. 브라우닝이 쓴 <아주 평범한 사람들>에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학살 임무를 거부하고 총기를 반납한 나치 대원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독일 101예비경찰대대 빌헬름 프라프 대대장은 유대인 학살 임무에 투입되기 직전 병사들에게 “임무를 감당할 자신이 없다면 앞으로 나오라”고 지시했다. 그러자 10명 남짓 병사가 앞으로 나왔고, 그들은 소총을 반납하고 대기했다. 그 병사들에게는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았다. 각 부대에서 학살 임무를 거부한 병사와 장교들이 속출했지만, 나치 독일의 가혹했던 군형법은 이들에게 명령불복종죄를 비롯한 어떠한 형사처벌이나 징계도 내리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