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범도 장군의 좌표는 어디일까?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렌즈로 본 세상]홍범도 장군의 좌표는 어디일까?

툭 튀어나온 광대뼈와 굳게 다문 입, 정갈한 콧수염, 다정하면서도 엄격해 보이는 눈매. 한 단어로 적어야 한다면 ‘옹골참’. 장군의 얼굴을 제대로 바라본 적이 있었던가? 대통령실에 취재를 갔다가 점심을 먹을 때면 주로 국방부 청사 후문으로 나간다. 원래 이 길목에 홍범도(1868~1943) 장군의 흉상이 있었다고 한다. 대통령실이 들어오면서 위치가 바뀌었다. 이 얘기를 듣고, 썩 유쾌하지 않았다. 사진을 찍은 지난 8월 28일, 공기는 눅눅했고, 하늘은 종종 신경질적으로 비를 퍼부었다.

독립운동의 공적보다는 이념에 대한 의구심이 더 커진 분위기는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과 무관하지 않다. 같은 날 국민의힘 연찬회에 참석한 윤 대통령이 주먹을 불끈 쥐며 연설했다. “국가에 정치적 지향점과 국가가 지향해야 할 가치는 또 어떠냐, 제일 중요한 것이 이념입니다. 철 지난 이념이 아니라 나라를 제대로 끌고 갈 수 있는 그런 철학이 바로 이념입니다.” 연찬회장에 박수가 울려퍼졌다. “어느 방향으로 우리가 갈 것인지를 우리가 명확하게 방향 설정을 하고, 우리 현재 좌표가 어디인지를 분명히 인식해야 우리가 제대로 갈 수가 있습니다.” 또다시 박수, 우레와 같은.

홍범도 장군의 좌표는 어디일까? 지난해 대통령실 옆으로 밀려난 국방부 청사 앞으로 이전된 흉상 13기의 주인공은 다음과 같다. 윤봉길, 이봉창, 안중근, 박승환, 강우규, 이순신, 강감찬, 을지문덕, 김좌진, 신돌석, 이강년, 유인석 그리고 홍범도. 좌우에 강우규 의사, 박승환 대한제국 육군 참령과 어깨를 나란히 한 장군은 남쪽의 연병장을 바라보고 있었다.

<사진·글 김창길 기자 cut@kyunghyang.com>

렌즈로 본 세상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