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경남 남해군 - 여름을 맞는 멍게와 불가사리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박수현의 바닷속 풍경](31)경남 남해군 - 여름을 맞는 멍게와 불가사리

사람들은 멍게의 제철을 봄이라 생각한다. 이는 남해안에 있는 멍게 양식장에서 봄에 멍게를 출하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멍게 제철은 수온이 올라가 맛이 드는 여름이다. 양식장에서 키우는 멍게는 수온이 올라가면 세균 등에 의해 집단 폐사할 수 있어 여름이 오기 전 출하를 마친다. 봄에서 여름에 이르는 요즘 바닷속을 들여다보면 제철을 기다리는 고운 빛깔의 멍게들을 만날 수 있다. 맑은 물속으로 투영되는 맑은 햇살을 받은 모양새가 봉오리 진 여름꽃, 장미를 닮았다.

여름을 다르게 맞이하는 종들도 있다. ‘아무르불가사리’다. 이들의 고향은 시베리아에서 발원한 ‘아무르(흑룡)강’이 유입되는 오호츠크해다. 선박의 이동에 따른 평형수에 실려 전 세계로 흩어져 번식하는 아무르불가사리는 차가운 물을 좋아하기에 수온이 올라가면 여름잠을 잔다. 겨울잠을 자는 곰이 늦가을 영양분을 비축하듯 아무르불가사리도 여름이 오기 전 닥치는 대로 먹이활동을 한다. 슬금슬금 기어오는 아무르불가사리의 등장에 긴장한 멍게가 입수공과 출수공을 굳게 닫아 보지만 불가사리의 집요한 공격을 막아내지 못한다.

불가사리는 다섯 개의 팔로 멍게를 움켜쥐고는 입수공을 틀어막는다. 숨이 막힌 멍게가 입수공을 조금이라도 열면 위장으로 밀어 넣어 멍게를 포식한다. 멍게는 입수공으로 바닷물을 들이켜 숨을 쉬며, 불가사리는 위장을 몸 밖으로 빼낸 채 위액을 뿜어내 음식물을 바로 소화시킬 수 있다.

<박수현 수중사진가>

박수현의 바닷속 풍경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