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을 구한 일곱 번의 만남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타인의 삶이 나를 치유할 때

<내 삶을 구한 일곱 번의 만남>
캐럴 스미스 지음·허선영 옮김·문학동네·1만7000원

[신간]내 삶을 구한 일곱 번의 만남

일곱 살 아들의 갑작스러운 죽음. 삶은 계속돼야 한다. 대신 곁에서 작별 인사도 하지 못했다는 슬픔에 수시로 무너질 뿐이다. 기자인 저자는 회사로 돌아와 고통을 참으며 일한다. 새롭게 의학 담당으로 그는 선천성 조로증을 앓는 열 살 소년 세스를 만나 밀착취재를 시작한다. 끊임없이 아이에 관한 생각이 떠올라 취재를 포기할 위기도 여러 차례 맞는다. 걸음마를 막 뗀 아이 같은 키에 여든 살 노인 같은 외모에도 죽음이 아닌 삶에 초점을 맞추고 살아가는 세스. 저자는 세스를 보며 선천성 질병을 앓았던 아들의 삶 또한 사랑과 즐거움으로 가득 차 있었다는 걸 깨닫는다. 화상, 사지 절단, 뇌졸중 등 뜻하지 않은 사고를 겪었지만, 희망을 품고 사는 사람들을 만나면서 상처를 치유해가는 과정이 그려진다. 마지막에 시애틀 터줏대감이던 신문사가 문 닫는 과정이 그려져 조금 씁쓸하다.

▲형사 박미옥
박미옥 지음·이야기장수·1만6800원

[신간]내 삶을 구한 일곱 번의 만남

“립스틱 정책입니까?” 강남서 첫 여성 강력계장이 되자 기자가 던진 질문이었다. “그 말씀은 여성 비하 발언으로 알아듣겠다”라고 당당하게 받아칠 수 있었던 이유는 그가 한국 여경의 역사를 쓰다시피 한 형사 박미옥이기 때문이다. 신창원이 검거될 당시 얼굴을 알아보고 인사를 했다는 전설이 쓴 책이지만, 담담하고 반성이 담겼다. ‘왜 째려보는가’가 아니라 ‘왜 째려본다고 느끼는가’가 범죄의 원인이 될 정도로 마음이 병든 사람들, 최근 불거진 여경 무용론에 대한 생각 등 새겨볼 만한 이야기가 많다.

▲ESG 세상을 위한 신박한 아이디어 21
안치용 외 지음·마인드큐브·2만5000원

[신간]내 삶을 구한 일곱 번의 만남

칼로리 대신 탄소배출량을 보는 ‘탄소 라벨링’, 국가가 지원하는 체외 ‘임신’, 서울대 대신 국공립대 통합 한국대…. 청년들의 머릿속에서 나온 광의의 ESG 아이디어들이 흥미진진하다. 주간경향에 연재했던 글들을 묶었다.

▲소리의 마음들
니나 크라우스 지음·장호연 옮김 위즈덤하우스·2만2000원

[신간]내 삶을 구한 일곱 번의 만남

소리를 들을 때 뇌는 앎, 감정, 생각, 움직임 등과 상호작용한다. 신경과학자인 저자는 소리와 뇌의 협업을 ‘소리 마음’이라 정의한다. 소리가 뇌에서 어떻게 변환되는지와 더불어 음악의 치유력, 소음의 파괴력 등을 들려준다.

▲끌어안는 소설
정지아 외 지음·창비·1만7000원

[신간]내 삶을 구한 일곱 번의 만남

가족 주제의 단편들이다. 어머니(정지아 ‘말의…’, 김애란 ‘플라이…’), 아버지(손보미 ‘담요’, 황정은 ‘모자’), 이모(김유담 ‘멀고도…’) 등 전통적 가족과 새로운 가족(윤성희 ‘유턴…’, 김강의 ‘우리…’)을 품는다.

<임소정 기자 sowhat@kyunghyang.com>

신간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