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장근로도 주 60시간 이상은 무리라 인식”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연장근로를 하더라도 주 60시간 이상은 무리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 박민규 선임기자

윤석열 대통령 / 박민규 선임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3월 16일 노동시간 유연화 법안과 관련해 이렇게 말했다. 또 “입법예고한 정부안에서 적절한 상한 캡을 씌우지 않은 것에 대해 유감으로 여기고 보완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날 윤 대통령의 발언은 안상훈 대통령실 사회수석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대통령실은 이른바 MZ세대 노동자와 노조 미가입 노동자 등 현장 의견을 들으며 구체적인 보완 방안을 마련해 가겠다고 밝혔다.

노동시간과 관련한 정부 정책이 혼선을 빚자 야당은 비판에 나섰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제정신인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노동 조건에 대한 국제 표준에도 전혀 맞지 않는 퇴행적 조치 또는 정책"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연간) 300시간을 더 일하는 장시간 노동국가이기 때문에 주 4.5일제를 향해 가야 한다”고 말했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윤석열 정부의 주 69시간 근무제를 둘러싼 대통령실과 정부·여당의 난맥상이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 수준”이라며 “아무리 소통과 홍보를 강화한들 주 69시간 근무제가 노동자를 과로사로 내모는 ‘살인 근무제’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김찬호 기자 flycloser@kyunghyang.com>

이미지
대한민국 최정예 겁쟁이들
오늘을 생각한다
대한민국 최정예 겁쟁이들
제2차 세계대전 전범의 아들 노다 마사아키가 쓴 <전쟁과 죄책>에는 포로의 목을 베라는 상관의 명령을 거부한 병사의 이야기가 나온다. 일본 관동군 중대장으로 근무했던 도미나가 쇼조의 증언에 따르면 중국 후베이성에서 포로를 베는 ‘담력’ 교육 도중 한 초년 병사가 “불교도로서 할 수 없습니다”라며 명령을 거부했다. 불교도로서 ‘살생하지 말라’는 계율을 지키려 했던 이 병사에게는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았다. 홀로코스트 연구자 크리스토퍼 R. 브라우닝이 쓴 <아주 평범한 사람들>에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학살 임무를 거부하고 총기를 반납한 나치 대원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독일 101예비경찰대대 빌헬름 프라프 대대장은 유대인 학살 임무에 투입되기 직전 병사들에게 “임무를 감당할 자신이 없다면 앞으로 나오라”고 지시했다. 그러자 10명 남짓 병사가 앞으로 나왔고, 그들은 소총을 반납하고 대기했다. 그 병사들에게는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았다. 각 부대에서 학살 임무를 거부한 병사와 장교들이 속출했지만, 나치 독일의 가혹했던 군형법은 이들에게 명령불복종죄를 비롯한 어떠한 형사처벌이나 징계도 내리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