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적인 죽음을 위하여 外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마지막 그날까지 인간답게

<인간적인 죽음을 위하여>
유성이 지음·멘토프레스·1만3800원

[신간]인간적인 죽음을 위하여 外

많은 노인이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에서 죽음을 맞는 시대, 인간다운 임종은 어떤 것일까. 집에서 ‘편안히’ 눈감고 싶어도 돌봄을 누가 감당할지의 문제는 쉽지 않다. 사망 후엔 경찰 조사가 필요한 ‘불편한’ 현실도 뒤따른다. 책은 생명윤리학 박사과정 중인 저자가 호스피스병원에서 간병사로 일하면서 88세 노인과 함께한 22일간의 기록이다. 요양병원에서 원치 않는 형태의 죽음을 맞는 부친을 보고 ‘죽음학’ 탐구를 시작했다. 그는 코로나19로 출입이 어려워진 발마사지 봉사자를 대신해 직접 발마사지를 하고, 늘 사회의 어른에 대한 존경과 감사를 담은 인사를 한다. 어르신은 의식을 잃기 전까지 ‘황혼일기’를 쓰며 하루하루 생명을 지닌 인간으로서 죽음을 준비한다. ‘웰다잉’ 논의가 연명치료 선택의 문제를 넘어 노인돌봄과 죽음을 잘 준비할 수 있는 환경 논의로까지 뻗어나가야 한다는 고찰을 준다.

▲내 인생을 바꾼 거절
제시카 배컬 지음·오윤성 옮김·북하우스·1만6500원

[신간]인간적인 죽음을 위하여 外

박사과정 초기, 앤절라 더크워스는 지도교수에게 “한심한 발상”이라며 아이디어를 무시당했다. 엄청난 노력을 쏟은 연구도 맥아더재단 연구비 지원에서 탈락했다. ‘열정적 끈기’의 그릿(GRIT) 이론으로 그는 결국 유명해졌다. 미국 스미스대학에서 자기 서사 프로젝트를 이끄는 저자는 성공한 여성 경영자, 저널리스트, 예술가 등 다양한 이를 인터뷰했다. 이들은 거절을 통해 교묘한 편향을 깨닫거나, 회복 탄력성을 키우고, 새로운 길을 찾았다. 학문적 연구를 접목한 거절 대처법이 눈길을 끈다.

▲물은 비밀을 알고 있다
최종수 지음·웨일북·1만8000원

[신간]인간적인 죽음을 위하여 外

빙산이 녹아도 해수면은 높아지지 않는다? 공공기관 연구소의 ‘물 박사’가 물이 자연에 끼치는 영향, 물이 창조한 문화, 물이 바꾼 역사, 일상 속의 물 등 인문학적 지식을 들려준다. 유명한 유사과학책과는 제목만 유사하다.

▲코끼리도 장례식장에 간다
케이틀린 오코넬 지음·이선주 옮김·현대지성·1만8000원

[신간]인간적인 죽음을 위하여 外

동물도 의례를 행하며 산다. 30여년간 야생동물을 연구한 행동생태학자가 인사, 집단, 구애, 선물, 소리, 무언, 놀이, 애도, 회복, 여행 등 10가지 의례 행동을 분석했다. 인간들의 ‘관계 맺기’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

▲컬러 오브 아트
클로이 애슈비 지음·김하니 옮김·아르카디아·3만3000원

[신간]인간적인 죽음을 위하여 外

고대벽화부터 현대미술까지 각 시대를 대표하는 명화 80점을 통해 미술사에서 색의 의미를 짚었다. 작품 해설에 물감과 기법의 발전 과정, 색채 심리학 등을 녹였다. 명화 속 색을 뽑아낸 컬러코드 팔레트도 인상적이다.

<임소정 기자 sowhat@kyunghyang.com>

신간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