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칸 프리즌 外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감옥 속 ‘현대판 노예’들

<아메리칸 프리즌> 셰인 바우어 지음·조영학 옮김·동아시아 1만8000원

[신간]아메리칸 프리즌 外

“범죄에 대한 처벌이 아닌 한 노예제도나 어떠한 비자발적 노역도 허용되지 않는다.” 노예제도를 폐지한 미국 수정헌법 제13조에 치명적 허점이 있었다. 흑인이 범죄로 기소되면 목화농장이나 탄광에서 일하게 해도 문제가 없게 된다. 그러니 더 많은 흑인을 잡아넣어 부려먹으면 될 일. 주 정부는 직접 농장을 사들여 교도소로 만들고 강제노역으로 돈을 불렸고, 이는 민영교도소로 이어진다. 기자인 저자는 미 전역 교도소 재소자의 8.7%를 담당하는 CCA 산하 민영교도소에 ‘시급 9달러짜리’ 교도관으로 취업해 죄수를 현대판 노예로 활용하는 교도소 시스템을 4개월간 직접 체험했다. 참고로 미 교도소·구치소 감금자는 지난 40년간 500% 늘었으며, 전 세계 재소자 4명 중 1명은 미국에 갇혀 있다.

▲이기거나 혹은 즐기거나
플뢰르 펠르랭 지음·권지현 옮김·김영사·1만4800원

[신간]아메리칸 프리즌 外

프랑스 최초 아시아계 장관 플뢰르 펠르랭의 에세이집이다. “공항 라운지에서 ‘태어났다’”는 그는 생후 6개월에 프랑스로 입양돼, 각료가 된 뒤 다시 한국 땅을 밟았다. 자신을 버린 나라는 장관이 된 그를 자랑스러워하지만, 일찍이 자신을 받아준 나라는 프랑스였다. 그는 부모님과 사회에서 거부당하지 않으려 기질을 누르고 규칙에 맞춰 살았다. 입양에 대해 늘 수치심을 느꼈으며, 세상의 인정을 받던 순간에도 우울증과 싸워야 했다. 말미엔 한국이 이룬 성공이 자랑스럽다는 화해의 메시지도 담았다.

▲타오르는 시간
김종엽 지음·창비·3만원

[신간]아메리칸 프리즌 外

꽉찬 계획표를 들고 도착한 목적지, 진정 자유로운 여행이란 무엇일까. 사회학자인 저자는 <주역>을 통해 관광객과 여행자의 정체성을 묻고, 문화학·미술·철학의 경계를 가로지르며 여행의 장소와 과정을 고찰한다.

▲사랑의 노동
매들린 번팅 지음·김승진 옮김 반비·2만2000원

[신간]아메리칸 프리즌 外

고령화와 함께 ‘돌봄사회’가 화두다. 저널리스트 출신 작가가 5년의 취재를 통해 가정, 병원, 시민단체, 호스피스병동 등 많은 돌봄현장의 목소리를 전한다. 각종 연구결과 등을 통해 사회구조적 문제를 조망했다.

▲솔로 사회가 온다
아라카와 가즈히사, 나카노 노부코 지음 유태선 옮김·북바이북·1만8000원

[신간]아메리칸 프리즌 外

2040년 일본의 1인 가구가 인구의 절반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독신 연구가와 뇌과학자가 대담을 열었다. 연애, 비혼, 고정관념 등에 대한 오해를 풀어가면서 현실과 미래를 흥미롭게 들여다본 책이다.

<임소정 기자 sowhat@kyunghyang.com>

신간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