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아이의 생명수는 ‘인간안보’ 아닐까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국내든 국제사회든 분열과 대립의 시대입니다. 세상은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차이는 차별의 원인이 됩니다. 이로 인한 갈등이 표면화되면 우리는 이를 ‘분쟁’이라고 합니다. 유혈사태가 없더라도 일단 ‘분쟁’이 발생하면 반드시 생채기는 남습니다.

김찬호 기자

김찬호 기자

한국을 예로 들어보죠. 핵으로 무장한 북한이라는 위협을 머리에 얹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전쟁이 끝난 것도 아니고 계속되는 것도 아닌 정전 상태로 70여년을 보냈습니다. 세계사적으로도 유례를 찾을 수 없는 비정상적 상황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은 이상하다는 것을 느끼지 못합니다. 북한 때문에 발생하는 일상의 불편함이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어딘가에서 계속 생채기가 나더라도 잘 보이지만 않으면 그뿐입니다.

고착화된 ‘비정상의 정상화’ 상태는 큰 충격 없이는 깨어날 수 없습니다. 문제는 그 충격이 또 다른 ‘전쟁’이 아니라고는 장담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작게나마 분쟁이 만든 비정상적 상황을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이를 위해 분쟁으로 인해 ‘가장 무고한 피해자는 누구일까’를 고민했습니다. 대상을 좁혀가다 보니 딱 하나가 남았습니다. 분쟁의 원인을 제공하지도, 분쟁의 의미조차 알지 못하는 존재. 바로 ‘어린이’였습니다.

마침 아일랜드 국제인도주의단체 컨선월드와이드가 2021년 세계기아지수를 발표했습니다. 이를 살펴보니, 기아지수가 심각한 나라 대부분이 국내적이든 국제적이든 ‘분쟁’에 휘말려 있었습니다. 세계기아지수 21위에는 북한도 있었습니다. 한반도 분쟁으로 인한 불편함은 이 상황을 초래하지도, 찬성하지도 않은 북한 어린이들이 겪어내고 있었습니다.

누군가는 국제사회의 냉혹한 현실을 지적하며 어쩔 수 없다고 할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출생은 우연적 요소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맞지 않습니다. 해결 방법이 없는 것도 아닙니다. 안보 개념을 국가, 민족, 종교 단위가 아닌 사람 단위로 변경하면 됩니다. 이른바 ‘인간안보’의 시작입니다. 사람을 지키는 것이 안보라면 우리는 지금 당장 이 모든 분쟁을 멈출 당위성을 갖게 됩니다.

이상적인 말처럼 보이시나요? 하지만 국제사회의 가장 큰 대립이었던 냉전은 각국 지도자의 단순한 ‘인식전환’ 한 번으로 끝이 났습니다. 변화는 거창한 준비가 있어야 시작되는 것이 아닙니다. 안보에 대한 인식전환이야말로 변화의 시작이자 끝일 수 있습니다.

<김찬호 기자 flycloser@kyunghyang.com>

취재 후바로가기

이미지
용산의 역경루
오늘을 생각한다
용산의 역경루
공손찬은 중국 후한 말 북방민족들이 이름만 들어도 벌벌 떨 정도로 위세를 떨쳤던 화북의 군벌이다. 오늘날 베이징 근처 유주를 근거지로 세력을 키웠던 공손찬은 백마의종이라는 막강한 기병대를 중심으로 황건적과 만리장성 넘어 이민족들을 토벌하며 군세를 넓혀갔다. 탁월한 군사적 재능을 갖췄으나 성품이 포악했던 공손찬은 폭정을 일삼으며 민심을 크게 잃는다. 왕찬이 기록한 <한말영웅기(漢末英雄記)>에 의하면 공손찬은 자신의 얼굴을 똑바로 쳐다본다는 이유로 부하를 죽이는가 하면 유능한 관료들을 쫓아내고 점쟁이를 측근에 등용하는 등 막장 행각을 벌였다. 하루는 백성들 사이에서 덕망 높았던 관리 유우를 저자에 세워놓고 ‘네가 천자가 될 인물이라면 비가 내릴 것이다’라고 말한 뒤 비가 내리지 않자 그 자리에서 죽여버렸다. 분개한 수만의 유주 백성들은 유우의 아들과 합세해 공손찬을 공격했고, 라이벌 원소와 이민족들까지 연합해 공격하니 공손찬은 고립무원에 처한다. 사방이 포위된 공손찬은 기주 역현에 거대한 요새를 짓고 농성에 들어가니 이 요새가 역경성이다. 자신의 남은 전력을 요새 건설에 쏟아부은 공손찬은 “300만석의 양곡을 다 먹고 나면 천하정세가 달라질 것이다”라고 말하고 외부와 연락을 끊은 채 향락에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