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꼭 숨어 운동해야 하는 이유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최근 폴스포츠를 시작했다. 더 이상 헬스장 기부천사가 되지 않겠다며, 선택한 대안 운동인데 주변에선 다들 의아해했다. “유교걸이 무슨 폴댄스냐”고 놀리거나 “페미니스트들이 싫어한다”며 핀잔을 주는 이도 있었다. 어느 쪽이든 폴스포츠를 고난도 근력 운동으로 보기보다는 뉴욕의 축축한 밤거리 스트립 바에서 볼 만한 선정적 댄스로 떠올리는 듯했다.

폴스포츠아트연맹 경기위원장 김효영씨

폴스포츠아트연맹 경기위원장 김효영씨

하기야, 미 로맨스 영화 <크레이지, 스투피드, 러브>에서는 남자 주인공의 이런 대사가 나온다. “여남 간 전쟁은 끝났다. 여자들이 운동으로 폴댄스를 시작한 바로 그 순간 남자가 여남 대결에서 이겼다.” 여자들의 폴스포츠는 남성의 시각적 즐거움을 위해 자발적으로 성적 대상화를 선택한 것과 다름없다고 보는 셈이다.

눈앞에서 처음 폴스포츠 장면을 봤을 때 적잖이 당황했다. 속옷과 별반 다를 게 없을 만큼 노출이 많은 폴스포츠 의상도 생소했지만, 폴에 거꾸로 매달려 다리를 쭉 찢는 모습은 충격이었다. 민망한 기분도 잠시였다. 폴스포츠는 보면 볼수록 ‘섹시’하다거나 ‘요정’ 같은 느낌보다는 중국 무술에서 나올 만한 강렬한 에너지가 압도했다. 실제로 이 운동은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팔뚝의 전완근과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근육으로 알려진 광배근에 힘이 들어가면서 동작마다 박력이 넘친다. 넋을 잃고 한참을 구경하고는 바로 3개월치 수강권을 결제했다.

폴스포츠는 어떤 체형도 차별하지 않았다. 외관상으로 근육이란 걸 찾기 어려운 내 몸도 수업 1회 만에 폴에 매달리는 데 성공했다. 폴스포츠의 기본 원리가 원심력으로 중력을 거스르는 것이기에 요령을 깨우치면 어떤 체형이든 단단하게 폴에 고정된다고 한다. 맨살의 마찰을 이용하는 운동인 만큼 수강생 전원이 짧은 상·하의를 입는데 그 누구도 폴을 타면서 늘어진 뱃살이나 출렁이는 팔뚝을 신경 쓰는 것 같지도 않았다. 솔직히 폴에 허벅지가 쓸리면서 살갗이 벗겨지고 피멍이 드는 고통을 참아내는 것만도 벅찼다.

첫 수업에 땀을 힘껏 빼고 흡족한 기분으로 학원을 나서는데 문 앞에 적힌 ‘남성 출입금지’ 팻말을 발견했다. 그러고 보니 잠깐이라도 밖에서 안을 볼 수 없게끔 문 앞에 긴 커튼도 드리워져 있었다. 사방을 막아둔 공간은 불특정 다수에게 ‘우리끼리 여기서 운동하는 거예요. 당신 눈에 예뻐 보이려는 게 아니라고요’라고 힘줘 말하고 있었다. 노출이 많은 의상을 편견 없이 보는 사람도 많지 않고, 레깅스 차림만으로도 불법 촬영물의 표적이 되는 흉흉한 세상이라 남자를 막는 건 어쩔 수 없는 선택일 것이다. 그렇지만 꼭꼭 숨어 운동을 해야 한다는 게 썩 유쾌하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폴스포츠 기원은 인도 전통 운동 말라캄(mallakhamb)이라고 알려졌다. 말라캄은 인도 장미나무 ‘시샴’에 아주까리기름을 발라 만든 2.6m 길이 폴을 이용하는 운동이다. 유튜브에서 ‘말라캄’을 치니 여성보다는 주로 남성들이 팬티 차림으로 폴을 타고 각종 동작을 선보이는 영상이 쏟아졌다. 매년 개최되는 세계폴스포츠대회는 여성·남성뿐 아니라 주니어, 2인 1조 부문 경기도 있어 남녀노소가 어울린다.

<윤지원 경제부 기자 yjw@kyunghyang.com>

꼬다리바로가기

이미지
용산의 역경루
오늘을 생각한다
용산의 역경루
공손찬은 중국 후한 말 북방민족들이 이름만 들어도 벌벌 떨 정도로 위세를 떨쳤던 화북의 군벌이다. 오늘날 베이징 근처 유주를 근거지로 세력을 키웠던 공손찬은 백마의종이라는 막강한 기병대를 중심으로 황건적과 만리장성 넘어 이민족들을 토벌하며 군세를 넓혀갔다. 탁월한 군사적 재능을 갖췄으나 성품이 포악했던 공손찬은 폭정을 일삼으며 민심을 크게 잃는다. 왕찬이 기록한 <한말영웅기(漢末英雄記)>에 의하면 공손찬은 자신의 얼굴을 똑바로 쳐다본다는 이유로 부하를 죽이는가 하면 유능한 관료들을 쫓아내고 점쟁이를 측근에 등용하는 등 막장 행각을 벌였다. 하루는 백성들 사이에서 덕망 높았던 관리 유우를 저자에 세워놓고 ‘네가 천자가 될 인물이라면 비가 내릴 것이다’라고 말한 뒤 비가 내리지 않자 그 자리에서 죽여버렸다. 분개한 수만의 유주 백성들은 유우의 아들과 합세해 공손찬을 공격했고, 라이벌 원소와 이민족들까지 연합해 공격하니 공손찬은 고립무원에 처한다. 사방이 포위된 공손찬은 기주 역현에 거대한 요새를 짓고 농성에 들어가니 이 요새가 역경성이다. 자신의 남은 전력을 요새 건설에 쏟아부은 공손찬은 “300만석의 양곡을 다 먹고 나면 천하정세가 달라질 것이다”라고 말하고 외부와 연락을 끊은 채 향락에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