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담의 심층-익숙한 옛날이야기 민담의 재해석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마음을 살펴보는 정신분석학에서 민담만큼 유용한 자원이 없다고 한다. 특정한 시간이나 공간을 언급하는 신화나 전설과 달리 ‘옛날 옛적에…’로 이야기의 핵심만 남아 있기에 인심을 비교하고 해부하는 데 적격이라는 것이다. 칼 융의 분석심리학을 전공한 일본학자 가와이 하야오는 그림 형제의 동화를 통해 세월의 풍화작용을 거친 민담의 진면목을 보여주고 있다. ‘헨젤과 그레텔’이나 ‘들장미 공주(잠자는 숲속의 공주)’처럼 익숙한 이야기는 물론 ‘트루데 부인’이나 ‘지빠귀 부리 왕’처럼 낯선 줄거리에서 융 심리학의 개념들을 이해하기 쉽게 풀이한다. 저자의 해석을 따라가다 보면 어린이에게 권선징악을 가르치기 위해 읽는 것이 민담이라는 고정관념을 해체할 수밖에 없다.

가와이 하야오 지음 고향옥 옮김·문학과지성사

가와이 하야오 지음 고향옥 옮김·문학과지성사

가장 먼저 무너지는 것은 ‘모성’에 대한 선입견이다. 어머니는 사랑과 헌신의 대명사이며 모든 것을 끌어안는 대지와 같다. 하지만 그레이트 마더(Great Mother)로 표상되는 태모(太母)의 속성 가운데 하나가 죽음이다. 땅은 만물을 낳는 동시에 묻어버린다. 언제까지나 품속에 안으려고 하는 모성의 원리가 자식의 독립을 방해해 정신적 죽음으로 내모는 부정적 작용을 일으키는 것이다. 가족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트루데 부인을 만나러 간 소녀는 나무토막으로 변해 순식간에 불길 속으로 사라지고 만다. 지나친 호기심을 절제하라는 교훈적 측면도 있겠지만 마음 심층의 무의식이 공포와 외경의 영역이라는 것을 시사한다는 설명이 흥미롭다.

이런 맥락에서 헨젤과 그레텔도 무시무시한 모성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캐릭터로 재해석된다. 대기근 때문에 남매를 버리자고 말하는 주체는 어머니다. 애초 친모로 전해졌지만 그림 형제가 너무 비인간적이어서 계모로 바꿨다고 한다. 엿듣게 된 아이들은 부모의 겉과 속이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고 생존의 방책을 강구하는데 이것이 자립의 시작이다. 숲이라는 무의식의 세계를 헤매던 남매는 과자로 만든 집을 발견하고 이런저런 시련을 견뎌내면서 주인인 마귀할멈을 화덕에 밀어 넣은 다음 보물을 가지고 무사히 집으로 돌아온다. 어머니로부터 분리되는 일은 ‘어머니 죽이기’로 표현될 만큼 어렵고 힘들지만 값진 보상이 약속된 과제인 것이다.

남성원리와 여성원리를 담고 있는 ‘게으른 세 아들’도 인상적이다. 임종을 맞은 왕은 왜 가장 게으르다고 판단한 셋째 왕자에게 왕위를 물려줄까. 왕비가 없는 상황에서 코앞에 닥친 왕의 죽음은 왕국을 지배하던 기존의 남성적 질서에 변화의 불가피성을 암시한다. 돌파와 모험을 정체성으로 삼는 남성원리 대신에 수성과 유지를 트레이드마크로 하는 여성원리가 필요한 때인 것이다. 두 가지 원리 가운데 우열이 따로 있지는 않다. 모든 인간의 마음에는 대립되는 원리들이 미묘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다. 민담의 묘미가 여기에 있다. 동일한 내용에 모순된 해석이 가능한 이야기를 통해 규칙과 변칙의 오묘한 상호작용을 알려준다. 약속을 지켜야 성공한다지만 어겨서 대성하기도 한다. 인간 만사를 단방에 해결하는 만병통치약이 없다는 지혜를 깨우치게 만드는 죽비로서 민담이 있는 듯싶다.

<정승민 독서팟캐스트 ‘일당백’ 진행자>

이 한권의 책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