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 여럿 배출한 학교 터에 관심”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진주 지수초 재벌송’ 개인전 여는 남문현 작가

경남 진주시에 있는 지수초등학교는 올해로 개교 100주년을 맞았다. 오랜 역사로도 이름 높지만, 특히 이 학교가 주목받은 이유는 따로 있다. 국내 굴지의 대기업 회장들을 여럿 배출한 내력 때문이다. 삼성을 창업한 고 이병철 회장과 LG 창업주 고 구인회 회장을 비롯해 효성의 고 조홍제 회장, GS의 고 허정구 회장 등이 이 학교를 나온 대표적인 기업인들이다. 4월 28일부터 5월 3일까지 서울 인사아트센터에서 <지수초등학교 재벌송(財閥松)을 그리다>라는 개인전을 여는 남문현 작가(50)는 재벌을 여럿 배출해낸 이 학교 터에 관심이 생겨 전시를 기획했다.

[주목! 이 사람]“재벌 여럿 배출한 학교 터에 관심”

“사실 기업 회장들의 개인적인 면에는 크게 관심이 없다. 내 마음을 이끈 것은 자연의 어떤 기운 때문에 여기에서 많은 재벌이 나올 수 있었는지에 대한 관심이었다.” 남 작가는 지수초 구 본관 앞에 있는 일명 ‘재벌송’을 그린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재벌송이란 1922년 구인회 회장과 이병철 회장이 재학 시절 학교 본관 앞에 심었다고 전해지는 소나무를 가리킨다. 지금도 소나무 옆에는 두사람의 사연을 담은 작은 팻말이 서 있다. 다만 이 소나무가 있는 지수초의 구 본관은 현재 학생들의 발길이 끊긴 채 비어 있다. 농촌 학령인구가 줄면서 지수초가 인근의 송정초와 통폐합돼 현재 학교는 옛 송정초가 있던 신 본관으로 옮겼기 때문이다.

경남 의령 출신인 남 작가는 지수초가 학교를 이전한 2010년 고향에서 멀지 않은 지수초 구 본관에 들러 이 소나무를 찾았다가 그림으로 남겨 전시하겠다고 마음먹었다고 한다. 남 작가는 “학교 중앙 단상 옆에 소나무 두그루가 V자형으로 서 있었는데, 왼쪽은 줄기가 굵고 가지도 풍성했고, 오른쪽은 줄기 중앙쯤에 굵은 가지를 벤 자국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 모습을 그대로 화폭에 옮겼으나 2018년 태풍으로 오른쪽 나무는 부러져 지금은 한그루밖에 남아 있지 않다. 재벌송 원래의 모습을 담은 그림은 남 작가의 작품이 마지막인 셈이다.

지수초 구 본관이 있는 승산마을은 LG와 GS의 모태가 된 구씨·허씨 집안이 수백년간 뿌리를 내리고 살던 곳이었다. 1920년대 당시만 해도 신식교육을 받을 학교가 드물던 시절이라 이병철 회장은 의령에서, 조홍제 회장은 함안에서 지수초까지 와서 공부했다.

묘하게도 풍수에 따른 전설은 이 지역에서 대부호가 많이 나온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옛 지수초 터 옆에는 지수천 냇물이 휘돌아 흐르다 남강으로 합류한다. 남강을 건너는 정암철교 아래 솥뚜껑을 닮은 ‘솥바위’가 있는데, 솥바위 반경 20리(8㎞) 안에는 부귀가 끊어지지 않는다는 전설이 아직도 이 지역에서 내려오고 있다. 남 작가는 “자연의 기운을 받아 부자가 나온다는 풍수적 시각으로 보면 부(富)의 기운이 모이는 바로 그 자리에 소나무가 서 있다”고 덧붙였다.

<김태훈 기자 anarq@kyunghyang.com>

주목! 이 사람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