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이름 바꾸기 대환장 파티의 결말?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목동도 아닌데 웬 목동? 적당히 합시다. 좀.”, “전세구나?”, “자가야, 멍청아.” 한 아파트 엘리베이터 안. ‘아파트 변경명칭 제안서’라는 의견 서명지에서 필담으로 벌어진 논란이다. 주민들이 제안한 이름은 요즘 흔히 보는 이름들이다. 목동 롯데캐슬 에비뉴, 목동 센트럴 롯데캐슬…. 그러다 누군가 굵은 사인펜으로 ‘그냥 삽시다’라고 남기면서 논란은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더쿠 스퀘어 게시판

더쿠 스퀘어 게시판

‘어느 아파트의 이름 바꾸기 대환장 파티’라는 이름으로 이 사진이 공유된 것은 지난해 1월경. 그런데 3월 중순, 이 사건의 최신 업데이트가 인터넷을 강타했다. 결국 바꿨다는 것이다. 첨부된 사진을 보면 정문 앞 출입문 위에 ‘목동 센트럴 롯데캐슬’이라고 적혀 있다.

다시 1년 전으로 돌아가자. 엘리베이터 안 ‘대환장 파티’는 왜 벌어졌을까. 이 아파트단지의 공식이름은 신정뉴타운 롯데캐슬이다. 주소지는 신월2동이다. 같은 양천구이지만 목동에선 한참 떨어져 있다. 그대로 살자는 측의 논거는 이렇다. 이름을 바꾸게 되면 우편물이니 뭐니 주소가 달라져 처리해야 할 사안이 복잡해진다는 것이다. 결국 이름을 바꾼 것을 보면 ‘개명찬성파’가 ‘반대파’를 제압한 것일까.

관할인 양천구청 홈페이지에 들어가 봤다. 아파트 주소지 변경에 대한 공지는 없다. 민원을 찾아보면 2018년경 신월동에 새로 지은 아파트에 목동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못하게 해달라는 요구만 나와 있다. 이미 목동에 같은 회사가 지은 아파트들이 있는데, 혼동된다는 것이다. 구청관계자에게 문의해봤다. “정문에 바꾼 이름을 단 것은 알고 있습니다. 소송이 진행 중인 건이라 자세히 말씀드리긴 곤란하네요.” 어떤 소송을 말하는 것일까.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와 구청 측의 말을 종합하면 ‘개명찬성파’가 승리한 것은 맞다. 세입자 아닌 원소유자 기준으로 전 세대의 80%의 동의를 받아 아파트 이름을 바꿔달라고 구청에 요청했고, 구청은 변경 주장 이름 가운데 목동이 들어가 있다는 이유로 요청을 거부했다. 현재는 구청 결정에 불복한 아파트 주민 측이 행정소송을 낸 상태라는 것. 그러나 구청 측의 입장은 완고하다. “이름 하나 때문에 실제 시세가 달라질 수도 있으니 재산권과 관련된 사항이라는 주민들 주장은 이해한다. 그런데 랜드마크라면 또 모르는데 목동은 법정동 명칭이다. 실제 지역사정을 모르는 사람은 목동 센트럴이라는 이름 때문에 목동 한가운데 있는 아파트로 착각하고 계약하는 피해도 발생할 수 있다.” 아파트 측에 따르면 ‘목동 센트럴 롯데캐슬’이라는 이름을 내건 건 지난 3월 초다. 정리하자면, 아파트 측이 종전의 이름 대신 목동이 들어간 새 이름을 내건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구청은 주민들의 요청을 거부해 행정소송이 진행 중이다. 따라서 아직 법적으로는 이 아파트의 이름이 바뀐 것은 아니다. 오늘의 팩트체크는 여기까지.

<정용인 기자 inqbus@kyunghyang.com>

언더그라운드 넷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