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박사 ‘울트라 릴렉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역경을 만날 때 우선 ‘릴렉스’하는 여유를

듣기만 해도 방아쇠를 당긴 듯 저절로 기분 좋아지는 노래가 있다. 대놓고 “좋아 좋아 기분이 좋아”라는 소절로 시작하는 한대수의 ‘고무신’이나 퀸의 ‘You and I’ 같은 노래가 내게는 그렇다. 그런데 이 노래만큼 들으면 ‘뽕 맞은 듯’ 찌릿한 쾌감을 전해주는 노래도 없어 고심 끝에 이 노래를 골랐다. 이박사가 2001년 발매한 정규 2집에 실린 ‘울트라 릴렉스’다.

[내 인생의 노래]이박사 ‘울트라 릴렉스’

기분이 좋아지는 이유가 별다른 데 있는 건 아니다. 노래가 신나고 이박사의 목소리는 천상계를 오가며 고막을 흥분시킨다. 테크노 뽕짝이라는 전무후무한 장르를 개척하며 20년도 더 이전에 ‘원조 한류스타’ 자리에 오른 음악인답게 노래를 쥐락펴락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온 나라가 외환위기로 우울했던 시기에 박사의 추임새는 그래도 잘 될 수 있을 것이란 낙관을 갖게 했다.

이박사를 너무나도 좋아한 나머지 한때 그의 목소리까지 닮고 싶어했던 난 이 앨범이 발매된 해 군에 입대했다. 신나게 놀아 젖히기만 하던 시절이 끝난 것이다. 전역을 하면 인생이 펼 것이라 생각했던 건 오산이었다. 누구나 그렇듯 나이가 들면서 짊어지는 책임은 늘어났고 타향살이하며 마음 둘 곳 없을 때 이 노래를 들었다. 대학에 한발 걸쳐둔 기간은 오래됐지만 먹고 살려고 이일 저일 해봐도 마냥 비정규직뿐이어서 정규직 일자리 하나가 간절했을 때 가장 많이 들은 기억이 난다. 학생식당에서 밥 먹고 나와서 햇볕 쬐면서 친구에게 들려주곤 했다.

그렇다고 그때가 너무 어렵고 힘들어 눈물겨운 시절로 기억하는 건 아니다. 반대로 인생이 만만하지 않다고 느낀지도 꽤 지나서 ‘그래, 이렇게 살다 보면 언젠가 다시 어려운 처지에 놓여도 그저 망연자실하진 않겠지’ 하는 생각이 들던 때였다. 어쩌면 이 노래가 그런 용기를 심어줬을지도 모르겠다. 도통 무슨 얘기를 하려는지 아리송한 가사가 오히려 웃음을 이끌어냈고, 곡조가 절정으로 치달을수록 웃음 폭탄을 맞은 뇌 속엔 도파민이 뿜어져 나와 황홀경으로 데려갔다. 곡의 마지막에 “됐다!” 하는 박사님의 목소리를 듣고서야 현실로 돌아오게 된다.

원곡은 일본의 한 애니메이션 주제가인데 작사·작곡을 한 이시노 타큐가 이박사와 일본에서 음반작업을 함께한 인연이 있다. 나중에서야 이 곡이 번안곡임을 알게 된 뒤 원래의 가사를 찾아보니 정체불명의 한국어 가사가 사실은 원곡 가사 내용대로 번역했기 때문에 나왔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나름의 의역 때문에 원래 가사의 맥락을 알 수 없게 된 데다 이박사 특유의 정서와 겹쳐져 당시 유행하던 표현대로 ‘엽기적인’ 가사가 나온 것이다.

선불교의 화두 같기도 한 가사를 읊조리며 이박사의 호흡을 따라가다 보면 과거의 그 시절 자신도 만나고 어느 미래 해탈한 듯 웃는 이도 만난다. 그리고 대단치 않지만 나에게는 든든하고 소중한 깨달음 하나가 남는다. 역경을 마주할 때가 되면 그때가 언제든 우선 ‘릴렉스’하는 여유를 찾으라고. 긴장해 움츠린 어깨를 펴고 눈을 들어 긴 숨을 가다듬으면 슬며시 웃음도 나온다. 마치 어릴 적 엄마 손을 잡고 시장에 가서 큰 대야 가득 꿈틀대는 미꾸라지들을 멍하니 바라보던 때처럼.

※이번 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여유부려 훌렁훌렁 언제나
눈앞에 비빔밥
늘렁늘렁늘렁늘렁 도깨비들
물리치고 이겨요 야

나는 나는 울트라 릴렉스
완벽하고 기분 좋아 딜럭스
백전백승이야 딜럭스
뛰어나와 노래해요 귀여운 곰

<김태훈 기자 anarq@kyunghyang.com>

내 인생의 노래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