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로 이렇게 돌아다니면서 취재하는 거예요?” 지역화폐 취재 중 만난 아이스크림 할인점 사장님이 물었습니다. ‘기사에 나오는 이야기들 다 지어낸 것 아니었냐’는 표정이었지요. 26세 젊은 사장님은 올해 6월 아이스크림 할인점을 열었다고 했습니다. 청년 사장님의 아이스크림 할인점은 무인 판매점입니다. 운 좋게도 물품 정리하는 타이밍에 들러 사장님을 만날 수 있었지요. 지역화폐에 대해 물었더니 사장님은 “오픈한 지 얼마 안 돼 체감 효과는 없지만 없는 것보다는 낫지 않겠냐”고 했습니다. 인근 피자집 사장님도 비슷한 답을 했습니다. 전통시장 생선가게 사장님도 다르지 않았습니다. 취재 중에 만난 누구도 ‘지역화폐가 불필요하다’거나 ‘무용하다’고 말하지 않았습니다.

반기웅 기자 ban@kyunghyang.com
사실 지역화폐는 미움받기 어려운 존재입니다. 상인들에게도, 소비자에게도 나쁠 게 없습니다. 특히 소비자 입장에서 정부가 제공하는 10% 할인 혜택은 이제껏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복지인 셈이지요. 지자체도 주민 호응 높은 정책을 마다할 이유가 없습니다.
하지만 지역화폐도 흠이 있습니다. 10% 할인 혜택은 수십만원어치 지역화폐를 한 번에 살 수 있는 구매력 있는 소비자들이 주로 누립니다. 스마트폰 다루기가 익숙지 않은 고령층에 상품권 구매와 충전은 너무 어렵습니다. 20~40대가 전체 지역화폐 이용액의 68% 이상을 차지하는 이유이기도 하지요. 쓰이는 곳도 프랜차이즈 가맹점과 편의점, 규모 있는 대형마트, 학원에 편중돼 있습니다. 지역화폐 활성화를 위해 사용처 제한이 다소 느슨한 것도 사실입니다. 연매출 10억원 이상 가맹점을 허용하는 지자체도 있으니까요. 그래서 지역화폐가 골목상권을 살린다는 당초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연구 보고서도 나왔지요. 강남과 재정자립도 최하위 지역과 똑같은 지역화폐가 유통되고 있으니 지역 불균형 해소 효과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지역화폐가 복지정책이라면 구매력 있는 계층의 혜택을 늘릴 것이 아니라 취약계층 복지에 집중하는 게 낫지 않냐는 지적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지방분권 강화 차원에서 지역화폐는 포기하기 어려운 카드입니다. 잘 쓰면 소멸 위기에 놓인 지방에 활력을 불어넣을 처방전이 될 수도 있지요. 지역 상생과 연대를 단단하게 연결할 고리 역할도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어떤 지역화폐를 만들어야 할까요. 분명한 사실은 더 나은 지역화폐는 자유로운 토론과 비판에서 나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반기웅 기자 ban@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