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 관절은 무릎이나 고관절보다 작은 만큼 좁은 접촉면을 갖고 있다. 단위 면적당 받는 스트레스가 타 관절에 비해 상대적으로 클 수밖에 없는 형태다. 연골 두께마저 타 관절보다 더 얇다.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전문 연세사랑병원 족부센터 김태용 과장(정형외과 전문의)
발목 관절은 뼈에 의해 ‘일치형’ 관절 형태, ㄷ자 형태로 서로 맞춰져 있다. 몸 전체의 체중을 받아내기 위해서다. 타 관절에 비해 운동 범위도 제한적이다. 단지 위아래로만 움직임이 가능한 만큼 타 관절보다 안정적인 구조다. 발목 연골층도 얇지만 연령에 따른 인장강도(하중을 받을 때 버텨내는 힘)의 감소가 심하지 않다.
이러한 발목 관절의 특성으로 단순 노화에 의한 일차성(퇴행성) 관절염은 드물다. 발목관절염의 80% 정도가 외상 후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아 발생한 경우였다. 발목은 ‘구조적 이상’이 생길 경우 쉽게 균형이 무너질 수 있고, 관절이 빠르게 망가질 수 있다. 발목관절염을 유발하는 주요 외상으로는 발목 골절과 ‘발목 만성 불안정증’이 대표적이다.
발목 골절이 발생한 경우 대부분 발목 관절의 연골 부분을 침범하게 된다. 이때는 수술적 치료를 통해 어긋난 부분을 정확히 맞춰 고정해야 한다. ‘발목 만성 불안정증’은 발목 골절에 비해 대중에게 익숙지 않은 발목 질환 중 하나다. 발목은 보통 뼈에 의해 안정성을 유지한다. 그러나 발목의 많은 인대 또한 발목의 안정성을 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조직이다. 문제는 발목의 외측 인대는 내측 인대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점이다. 흔하게 발생하는 ‘발목 접질림’에 의해서도 쉽게 손상될 정도다.
만약 발목 외측 인대에 심한 손상이 진단되었다면 수술적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 물론 증상 정도에 따라 비수술적 치료로도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문제는 치료를 미루다 인대의 손상이 불완전하게 회복되었을 때다. 인대가 불완전하게 회복되면 발목을 쉽게 접질리는 ‘발목 만성 불안정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발목 만성 불안정증’이 지속되면 잦은 접질림이 생기고, 발목을 접질릴 때마다 발목 연골 손상이 쌓여 방치했을 때는 발목관절염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발목을 접질리거나 삐었을 때는 족부 족관절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발목 만성 불안정증’이 의심된다면 조기에 정형외과병원을 방문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 발목관절염의 진행을 막아야 한다.
<김태용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전문 연세사랑병원 족부센터 과장(정형외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