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 관절염은 발목 관절 내에 손상된 연골 조각이 신경을 자극해 염증을 만들어 부종과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보통 무릎에만 관절염이 진행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발목에도 관절염이 진행된다. 초·중기를 지나 말기에 이르면 관절 자체를 바꾸는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하다. 발목 관절염의 경우 노화나 퇴행보다는 발목염좌(족관절염좌) 같은 잦은 접질림과 같은 ‘외상성’ 질환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관절전문 연세사랑병원 족부센터 김태용 과장
발목을 지지하는 인대 일부가 파열된 증상인데, 단순히 발목 접질림으로 치부해서 방치하면 발목을 보호하는 인대의 기능이 점점 약해져 ‘발목 불안정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족부관절의 기능이 약해진 상태에서 모든 체중 부담과 하중이 연골과 뼈로 향하는 순간부터 발목 관절염이 진행되는 것이다.
발목 관절염의 경우 치료 시점이 중요하다. 진단과 치료가 빠를수록 자신의 관절을 더 오래 보존할 수 있다. 최근에는 줄기세포 재생의학이 발목 관절염 치료에도 적용되며 치료 효과를 높이고 있다. 원리는 무릎 관절염 치료에 적용되는 줄기세포 치료법과 유사하다. 연골이 손상된 부위에 줄기세포를 주입해 재생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이 치료법의 목표는 연골 결손 부위를 회복시켜 ‘자신의 관절을 그대로 살리는 방법’이다.
줄기세포는 손상된 부위의 세포로 분화해 회복시키는 능력이 있다. 이를 이용한 관절염 치료 연구는 현재도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관절염 치료 분야에서 줄기세포의 활약은 눈부시다. 연골로 분화하는 능력은 물론 통증 완화, 기능 회복 등 유의한 임상 결과에 대한 연구논문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줄기세포 치료가 만능이란 것은 아니다. 관절 내 연골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 상태인 관절염 초·중기 단계에서 줄기세포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다. 자신의 발목 관절을 오래 보존하기 위해서는 초·중기 치료 시기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만약 연골 손상이 완전히 진행된 말기 단계까지 진행되었다면 어쩔 수 없이 발목 인공관절 치환술이 필요하다.
현재 수준의 인공관절은 자신의 것처럼 잘 사용할 수 있지만, 자신의 관절이 아니라는 심리적 부담감은 여전히 남는다. 따라서 자신의 관절을 최대한 오랫동안 보유하고 싶다면 줄기세포 재생치료의 시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글·관절전문 연세사랑병원 족부센터 김태용 과장(정형외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