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건조증 예방 환경·생활습관 고쳐야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 영향으로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실내에서 오래 지낼수록 안구건조증에 주의해야 한다. 안구건조증을 방치할 경우 눈이 쉽게 피로해져 기능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이고, 각종 안질환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글·박영순 압구정 아이러브안과 대표원장

글·박영순 압구정 아이러브안과 대표원장

안구건조증은 눈이 건조해지면서 모래알이 낀 것 같은 이물감·충혈·가려움 등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문제는 안구건조증이 악화하면서 일어나는 만성적인 염증과 감염이다. 각막에 상처가 생겨 시력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며, 각막염·결막염 등의 안질환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안구건조증은 건조한 실내환경·스트레스·미세먼지·흡연·스마트기기 등 다양한 원인이 꼽히는데, 눈 깜박임 횟수가 줄어드는 것도 원인 중 하나다. 평소에 우리의 눈은 1분에 15회 정도 깜박이면서 각막에 눈물과 산소, 영양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TV나 모니터, 스마트폰 화면 등 무언가를 집중해서 볼 경우 눈을 깜박이는 횟수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 안구의 표면이 마르게 되면서 안구건조증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실내환경 역시 주요 원인의 하나다. 실내에서는 먼지가 쌓이기 쉽고, 여름철 냉난방기를 가동하면 더더욱 먼지가 많은 환경이 조성되므로 안구건조증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환기 없이 냉난방기를 오랜 시간 가동할 경우 공기가 건조해질 수 있어 이 또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 외에도 각종 화장품이나 컬러렌즈, 시력교정 수술 등이 안구건조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꼽힌다.

안구건조증을 예방하려면 실내환경과 자신의 생활습관을 모두 개선해야 한다. 평소에 가습기와 냉난방기를 적절히 활용해 실내의 습도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도록 하자. 컴퓨터나 스마트기기를 오랜 시간 사용했다면 눈에 휴식을 취해주도록 한다. 이때 화면에서 눈을 떼고, 4초에 1번씩 눈을 깜빡여주면서 눈을 촉촉하게 만드는 ‘눈 깜빡임 운동’을 3분 정도 해주면 좋다. 콘택트렌즈나 컬러렌즈는 장시간 착용을 자제하며, 인공눈물을 점안하여 항상 눈을 촉촉하게 유지해야 한다. 하루에 2ℓ 정도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고, 녹황색 채소, 비타민C,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식품을 먹으면 예방에 도움이 된다.

<글·박영순 압구정 아이러브안과 대표원장>

건강설계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