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 관절염에도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발목 관절염은 퇴행성보다 골절이나 염좌, 만성 발목불안정증 등이 원인인 외상성 관절염의 발생빈도가 약 70%로 높다. 발목골절 경험이 있거나 평소 발목을 자주 접질리는 만성 발목불안정증 증상이 있다면 발목 관절염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발목 관절염의 주된 증상은 통증이다. 주로 족관절의 앞쪽 또는 족배부(발등)의 심부에서 통증이 발생한다. 또한 이들 중 다수의 환자가 관절 운동의 강직을 호소한다.

관절전문 연세사랑병원 족부센터 김태용 과장

관절전문 연세사랑병원 족부센터 김태용 과장

치료는 크게 비수술적 요법과 수술적 요법으로 나뉜다. 먼저 비수술적 요법은 통증 완화 및 관절 기능 보존을 통해 발목 기능의 장애를 최소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주사치료·보조기 등을 처방한다. 또한 체중이 발목관절에 전달되지 않는 수영이나 아쿠아로빅·실내자전거 등 운동요법이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어느 정도 진행된 발목 관절염의 경우 비수술적 요법만으로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이때는 수술적 요법을 통해 치료를 진행하는데 증상의 정도에 따라 다른 치료법이 적용될 수 있다. 초기 발목 관절염의 경우 관절 내시경을 활용해 발목의 골극 및 유리체 제거, 골연골 병변의 치료 등을 시행하는 ‘관절경적 변연절제술’을 통해 발목 통증의 감소는 물론 기능 향상까지도 기대할 수 있다.

이미 관절염이 진행돼 발목관절의 정렬이 정상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국소 접촉 압력과 전단력(서로 반대가 되도록 면을 따라 평행되게 작용하는 힘)이 증가하며 발목 내측 연골에 과부하가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시간이 지날수록 관절염이 심해지게 된다. 이때에는 발목관절을 교정하기 위한 ‘과상부 절골술’을 통해 관절 접촉 면적을 분산시키고 넓혀 특정 연골 부위에 과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골수와 지방세포에서 기원하는 중간엽 줄기세포는 연골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관절 연골 손상 치료의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는다. 최근에 골연골 병변의 치료와 중간엽 줄기세포 주입을 함께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보고까지 나왔다. 발목 관절염은 말기까지 진행되면 인공관절 치환술 외에는 마땅한 치료법이 없다. 때문에 조기 진단을 통한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여 관절염의 진행을 지연시키고, 자신의 관절을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관절전문 연세사랑병원 족부센터 김태용 과장>

건강설계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