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발목 접질림, 방치하지 마세요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코로나19의 ‘생활 속 거리 두기’로 외부활동이나 단체활동이 다소 활발해졌다. 다양한 레저·스포츠 활동이나 등산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는 이들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활동 중 발생한 부상으로 내원하는 환자도 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발목은 일상생활 중에도 순간적으로 삐끗해 쉽게 부상당할 수 있는 관절이다. 순간적인 접질림으로 발목관절이 운동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심한 통증과 함께 퉁퉁 붓는 ‘발목 염좌’ 또는 ‘발목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관절전문 연세사랑병원 족부센터 김용상 원장

관절전문 연세사랑병원 족부센터 김용상 원장

발목 염좌는 발목에 충격이 가해짐으로 인해 발목 주변에서 발목을 지탱해주는 인대가 손상돼 나타나는 질환이다. 비록 치료받지 않았을 경우 나타나는 후유증은 골절보다 경미할 수 있지만 ‘단순 염좌’라도 손상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인대가 제대로 치유되지 않아 향후 심각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만약 인대가 느슨하게 늘어난 상태로 아물게 되면 수시로 발목이 접질리는 ‘만성 발목불안정증’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는 추후 발의 통증 및 부종뿐 아니라 ‘발목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심한 경우 일상생활의 보행조차 어렵게 만든다. 또한 급성으로 발목이 접질린 환자의 20~30%는 만성 발목불안정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만성 발목불안정증은 발목의 움직임이 과하게 필요한 운동이나 등산으로 접질린 후 고정치료가 제대로 안 된 경우, 급성 염좌 치료를 제대로 했음에도 인대가 완전히 파열되었거나, 복사뼈의 견열골절(牽裂骨折·인대나 다른 구조물이 뼈를 물고 떨어진 증상)이 있었던 경우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반복적으로 발목을 접질리는 것 외에도 발목이 시큰거리거나 돌릴 때 뻐근한 느낌, 복사뼈 부위가 붓는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만성 발목불안정증 초기에는 약물 및 주사치료, 운동요법, 물리치료 등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그러나 치료 후에도 호전이 없거나 MRI 등의 정밀 검사상 관절 내부 손상이 관찰되었을 경우, 힘줄이 찢어지거나 인대가 완전히 파열되었을 경우에는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0.5㎝의 비교적 작은 크기의 절개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해졌다. 관절내시경을 활용해 진행되는 이 치료법은 외측 인대의 봉합뿐 아니라 관절 내부의 손상까지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다 손상된 연골에 줄기세포를 도포하여 ‘연골재생’ 치료까지도 가능하다.

<글·관절전문 연세사랑병원 족부센터 김용상 원장>

건강설계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