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두통 발작의 단계별 특징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편두통은 두개골 안 혈관의 비정상적인 경련과 관련된 대표적인 혈관성 두통이다. 구역·구토나 빛·소리 공포증과 같은 이상 증상이 동반되며 만성적으로 반복되는 흔한 신경과 질환이다.

[건강설계]편두통 발작의 단계별 특징

일반적으로 편두통은 전구기·조짐기·두통기·회복기 등의 경과를 거친다. 먼저 전구기의 경우 편두통이 발작하기 수 시간에서 수일 전에 나타나며, 편두통 환자의 60% 정도에서 관찰된다. 우울감·과민성·안절부절못함·피로감·졸림 등의 심리적인 증상과 빛·소리·냄새에 대한 공포와 같은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다. 또 찬 느낌, 목마름, 소변량 증가, 설사, 식욕 저하, 변비, 음식물에 대한 갈망 등 자율신경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조짐기는 편두통이 발작하기 전 또는 두통의 발생과 동시에 나타나는 국소신경학적 증상이다. 변시증, 거시증, 줌 형태나 모자이크 양상, 암점, 섬광시, 광시증, 지도 모양의 형태, 반짝이는 섬광 등 시각 조짐이 90% 이상을 차지한다.

두통기에서 편두통 발작은 보통 한쪽 관자부나 안구의 통증을 호소하게 되고, 맥박이 뛰는 듯하거나 콕콕 쑤시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때 구역은 90%, 구토는 50%에서 두통과 함께 나타나는데, 편두통 환자가 두통 외에 가장 고통받는 동반 증상이다. 편두통은 주로 아침에 잘 발생하고, 계단을 오르는 것 같은 일상적인 활동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편두통 발작이 완화되면 회복기로 접어든다. 하지만 이 시기에도 집중곤란·피곤함·짜증 등을 호소할 수 있다. 그 외 근력 약화·근육 통증·식욕 저하·음식 갈망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편두통을 유발하는 가장 큰 인자로는 음식 알레르기나 음식에 대한 민감성을 들 수 있다. MSG와 같은 식품첨가물, 티라민을 함유한 음식이나 치즈류가 대표적이며, 배고픔이나 음주 또한 편두통을 유발하는 식이적 요인이다.

그 외 과도한 수면이나 수면 부족, 스케줄의 잦은 변화, 생리나 호르몬제 사용으로 인한 호르몬의 변화, 신체적 피로, 과격한 운동이나 성관계, 스트레스나 불안한 심리 등도 편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 평소 편두통으로 고통받는 환자라면 이러한 유발인자들을 미리부터 점검해둘 필요가 있다.

<글·휴한의원 노원점 김헌 원장>

건강설계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