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경쟁, 미국·일본·중국의 ‘삼국지’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미래를 제패하기 위한 미·일·중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현 시점에서 인공지능 분야의 3대 강국으로 미국, 일본, 중국을 꼽을 수 있다. 미국의 경우 IBM, 아마존, 구글, 애플, 페이스북 등 세계를 선도하는 인공지능 리더십과 인공지능 플랫폼을 소유한 기업들이 즐비하다. 또한 이들 기업은 실제로 인공지능을 비즈니스에 활용해 상당한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니, 굳이 미국의 인공지능 경쟁력에 대해서는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알리바바의 비전에 대해 얘기하는 마윈./alizila.com

알리바바의 비전에 대해 얘기하는 마윈./alizila.com

일본은 원래 인공지능보다는 전통적인 로봇 강국이다. 세계 1위의 산업용 로봇 기업 화낙(FANUC)을 포함해 세계 상위 10대 로봇 기업 중 6개가 일본 기업이다. 과거엔 산업용 로봇에 그리 높은 수준의 인공지능이 활용되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이 본격적으로 접목되고 있다.

게다가 소프트뱅크가 페퍼(Pepper)를 출시하면서 일본에서는 세계 최초로 본격적인 서비스 로봇의 대중화 시대가 열리게 됐다. 제조업에 이용되는 산업용 로봇과 달리 서비스 로봇은 인간을 자율적으로 돕는 로봇으로,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이 몹시 중요하다. 페퍼 출시 이후 일본 사회 전반적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으며, 세계에서 주목 받는 인공지능 스타트업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세계에서 가장 앞선 로봇 활용 사회를 실현한다는 목표 아래 ‘로봇 신전략’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일본을 전세계 로봇 혁명의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2017년 인공지능 스타트업에 대한 전세계 투자에서 미국이 38%를 차지한 반면 중국은 48%를 차지해 중국이 미국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서는 알리바바, 바이두 등의 인터넷 기업들이 인공지능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알리바바는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방형 인공지능 플랫폼 ET브레인(ET Brain)을 출시했다. 지난 1월 알리바바의 인공지능은 위키피디아 문서에 대한 10만개 이상의 질문과 답변으로 구성된 ‘스탠퍼드 Q/A 데이터세트(SQuAD: The Stanford Question Answering Dataset)’ 테스트에서 인간의 점수를 넘어섰다. 문서를 읽고 이해하는 독해능력에서 인간을 능가하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또한 알리바바는 자사가 소유한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몰 티몰(Tmall)의 고객 상담에 고객 문의의 90% 이상을 이해할 수 있는 챗봇(Chatbot)을 이용해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다.

중국 최대의 검색엔진 기업 바이두는 최근 자사를 ‘AI Company’라고 적극 홍보하면서 인공지능 관련 투자 및 연구·개발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바이두는 자율주행 플랫폼 아폴로(Apollo)와 함께 인공지능 플랫폼 듀어OS(DuerOS)를 선보였다.

바이두의 인공지능 기술은 KFC·베이징 공항 등에서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 시스템에 활용되고 있으며, 인공지능을 탑재한 서비스 로봇을 소매점에서 운용하고 있기도 하다. 지난 4월 바이두는 자사의 윤지(云智) 아카데미를 통해 앞으로 3년간 인공지능 인재 10만명을 양성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처럼 미래를 제패하기 위한 미·일·중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혁명적인’ 고민과 결단이 필요하지 않을까?

<류한석 류한석기술문화연구소장>

IT 칼럼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