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목숨 만도 못한 동물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신간 탐색]파리 목숨 만도 못한 동물들

동물은 전쟁에 어떻게 사용되나
엔서니 J 콜린설터 등 지음·곽성혜 옮김 책공장더불어·1만4000원

미국 해군은 1960년대부터 돌고래를 바닷속 기뢰 탐지 등에 활용하다가 금세기 들어 전 세계의 지탄을 받았다. 저자들은 예로부터 동물이 전쟁의 도구인 동시에 희생물이 되어온 역사를 고발하고,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된 현대에도 여전히 동물을 활용하고 있음을 폭로한다.

현대에는 오히려 동물 사용이 더 악랄해졌다. 1차 대전 때 소련은 독일 탱크를 폭파시킬 때 개를 이용했다. 굶주린 개에게 폭탄을 실어 탱크 밑으로 숨어들도록 조련했다.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도 당나귀와 낙타가 이 같은 용도로 희생됐다. 전쟁 관련 생체실험에서 부상을 입고 죽임을 당한 동물은 부지기수다. 세계적으로 실험에 동원돼 목숨을 잃는 동물은 1년에 약 100억마리, 1분에 1만9000마리에 달한다.

전쟁 중 동물이 입는 피해도 막심하다. 군인들이 심심하거나 초조하다는 이유로 야생동물을 쏘아 죽이는 일은 공공연한 비밀이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집에 남은 반려동물들은 주인을 기다리다 굶어죽는다. 전쟁으로 땅과 물이 타오르고 오염돼 살아남은 동물들조차 온전하지 못하다.

아무도 귀 기울이지 않는 동물의 목소리를 대중의 관심 속으로 끌어들이고, 동물 해방운동이 곧 평화와 약자를 돕기 위한 활동의 한 부분임을 역설한다.

<송진식 기자 truejs@kyunghyang.com>

신간 탐색바로가기

이미지
용산의 역경루
오늘을 생각한다
용산의 역경루
공손찬은 중국 후한 말 북방민족들이 이름만 들어도 벌벌 떨 정도로 위세를 떨쳤던 화북의 군벌이다. 오늘날 베이징 근처 유주를 근거지로 세력을 키웠던 공손찬은 백마의종이라는 막강한 기병대를 중심으로 황건적과 만리장성 넘어 이민족들을 토벌하며 군세를 넓혀갔다. 탁월한 군사적 재능을 갖췄으나 성품이 포악했던 공손찬은 폭정을 일삼으며 민심을 크게 잃는다. 왕찬이 기록한 <한말영웅기(漢末英雄記)>에 의하면 공손찬은 자신의 얼굴을 똑바로 쳐다본다는 이유로 부하를 죽이는가 하면 유능한 관료들을 쫓아내고 점쟁이를 측근에 등용하는 등 막장 행각을 벌였다. 하루는 백성들 사이에서 덕망 높았던 관리 유우를 저자에 세워놓고 ‘네가 천자가 될 인물이라면 비가 내릴 것이다’라고 말한 뒤 비가 내리지 않자 그 자리에서 죽여버렸다. 분개한 수만의 유주 백성들은 유우의 아들과 합세해 공손찬을 공격했고, 라이벌 원소와 이민족들까지 연합해 공격하니 공손찬은 고립무원에 처한다. 사방이 포위된 공손찬은 기주 역현에 거대한 요새를 짓고 농성에 들어가니 이 요새가 역경성이다. 자신의 남은 전력을 요새 건설에 쏟아부은 공손찬은 “300만석의 양곡을 다 먹고 나면 천하정세가 달라질 것이다”라고 말하고 외부와 연락을 끊은 채 향락에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