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을 위한 필수요소 ‘디지털전환’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2016년 초부터 테크 분야 글로벌 기업들과 컨설팅 회사들이 발표하는 자료에 빠짐없이 등장하는 키워드가 있다. 바로 디지털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다. 1995년 니컬러스 네그로폰테 MIT 미디어랩 설립자가 쓴 <디지털이다(Being Digital)>라는 책이 나온 지 20년이 지났는데 뜬금없이 갑자기 디지털전환을 화두이자 키워드로 꺼내든 기업들이 하나둘이 아니다. 특히나 처음부터 모바일, 소셜 클라우드, 빅데이터, 통합 커뮤니케이션 등 기존 산업분야를 파괴할 이런 요소들을 잘 활용하는 기업들이 등장하면서 산업 간 경계는 급속히 사라지는 형국이다. 우버, 에어비앤비를 비롯해 연일 전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는 테슬라까지.

테슬라의 원래 창업자는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였다는 사실은 현재의 변혁을 이해하는 대목이 되기도 한다. 바퀴벌레 같은 생명력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계속 바꾸면서도 끝까지 살아남아 투자자의 마음을 샀다는 일화로 유명한 에어비앤비는 이제 부동산 중개업으로 확장해 가고 있다. 우버를 택시 공유 회사로 알고 있다면 구시대 인물일지도 모른다. 우버는 운송수단을 활용해 다방면으로 사업을 확장해가고 있다. 우버차량을 이용한 음식 배달 서비스 우버프레시, 음식 배달 서비스인 우버이츠, 합승 서비스인 우버풀, 자전거를 이용한 배달 서비스 우버러시, 교통 약자를 위한 서비스 우버어시스트, 헬기를 활용하는 우버초퍼 등으로 빠르게 확장해 가고 있다.

이들은 멀리 있고 국내에 여파가 아직 미비해 그 파장을 느끼지 못하겠다면 GE의 변신은 어떤가. 지난 4월 GE 이노베이션 포럼 2016 행사에 참여한 제프 이멜트 GE 회장 겸 최고경영자는 “2009년과 2010년 당시 세상이 바뀌었구나, 혁신이 일어나고 있구나라는 걸 알았다”며 “우리가 변하지 않으면 21세기에 고객을 충족시키지 못하겠다고 느꼈다. 그 뒤로부터 수십억 달러를 투자했다”고 말했다. 그 투자의 대부분은 첨단소재 개발과 함께 디지털 부문이었다. 저성장 기조가 좀처럼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생산성 향상을 원하는 고객의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서 찾아낸 해법이다.

지난 4월 GE 이노베이션 포럼 2016 행사에 참여한 제프 이멜트 GE 회장 겸 최고경영자. / 테크수다

지난 4월 GE 이노베이션 포럼 2016 행사에 참여한 제프 이멜트 GE 회장 겸 최고경영자. / 테크수다

GE가 핵심 사업으로 꼽은 에너지, 항공, 운송 산업설비, 의료기기 등의 물리적인 기기에 센서를 대거 부착하고 이 데이터들을 실시간 분석해서 고객 혹은 파트너 심지어 경쟁회사들이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를 만들었다. 프레딕스라는 이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클라우드 서비스 1위 사업자인 아마존웹서비스(AWS) 위에서 돈다. 이렇게 하면 15년간 에너지 산업에서 연료 사용량을 1% 줄이면 660억 달러, 항공 업계는 300억 달러, 헬스케어 분야는 650억 달러를 절감할 수 있다고 이멜트 회장은 말했다.

2016년은 어쩌면 한국이라는 지리적인 땅에 ‘본사’를 두고 있는 수많은 대기업들에게 엄청난 시련의 해가 될지 모르겠다. 고유가를 기반으로 성장했던 국내 산업들이 저유가 시대에 연쇄적으로 힘을 잃고 있다.

그러나 그런 상황은 해외의 글로벌 기업들도 매한가지였다. 차이가 있다면 그런 시장의 변화를 읽고 선제적으로 죽기살기로 사업 구조를 재편하고 디지털화를 위해 뛰어갔느냐 아니냐의 차이다. 디지털시대에 무서운 점은 상위 한 개의 업체가 시장의 거의 대부분을 장악한다는 사실이다. 상위 몇 개 업체가 시장을 나눠먹고 후발 업체들도 먹고 살 수 있던 시대가 아니다. 살아남고 보자던 IMF 구제금융 위기 시대와는 전혀 다른 시대가 우리 앞에 이미 와 있다.

<테크수다 도안구 기자 eyeball@techsuda.com>

IT 칼럼바로가기

이미지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오늘을 생각한다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밤새 뒤척인다. 겨우내 마음 편히 잠을 자지 못해 머리에 스모그가 낀 듯 무겁다. 창밖을 보니 눈이 내린다. 이상기온이 일상이 돼간다. 기후변화의 징후인 3월 중순 눈 쌓인 풍경은 더 이상 아름답지 않고 불길하다. 자연 시스템의 불안정성만큼이나 정치와 사법 시스템 또한 아슬아슬하다.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둘러싼 사회적 긴장은 한국 민주주의가 직면한 불안정성을 드러낸다. 일만 년간 이어온 기후 안정성과 40여 년이 채 안 된 한국의 민주주의는 기간으로는 비할 데 아니지만, 우리 삶에 당연히 주어지는 조건으로 여겨졌던 점은 흡사하다. 이번 겨울 기후환경이든 정치체제든, 우리가 당연하게 여겨온 것들이 얼마나 쉽게 흔들릴 수 있는지 여실히 드러났다. 기후위기와 정치위기라는 무관해 보이는 두 위기는 사실 그 원인 면에서도 맞닿아 있는데, 효율과 성과가 최우선시되는 과정에서 다른 중요한 가치는 간과했다는 점이다. 한국사회는 산업화하는 과정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법을 배웠지만, 화석 연료 중심의 에너지 구조를 전환하는 데 게을렀고, 정치적 다양성과 세대 간의 이해를 구현하지 못했다. 우리는 경쟁을 통해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지만, 이제는 그러한 방식의 성장이 우리 사회를 갉아먹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