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댓글]1177호 “문제는 초미세먼지 PM2.5다”外를 읽고](https://img.khan.co.kr/newsmaker/1178/20160531_11.jpg)
문제는 초미세먼지 PM2.5다
초미세먼지만 심한 날은 하늘이 그렇게 뿌옇지 않더라고요. 그런데 환경부에서는 이런 날엔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않아 아이들이 소풍 가고 운동장에 나와서 운동하고…. 초미세먼지는 1급 발암물질입니다. 환경부에서 대책을 마련해주길 바랍니다. _네이버 boyo****
PM2.5가 주요 지표이긴 한데, 실외에서는 다른 사이즈의 미세먼지도 똑같이 해롭습니다. 초미세먼지가 필터 통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해성을 파악할 때 PM2.5 지표가 더욱 의미 있습니다. 초미세먼지 주의 정도가 높지 않더라도 실외에서의 활동은 자제해야 합니다. _네이버 fury****
‘솟아날 구멍’마저 없는 실업안전망
사회안전망 하나 없이 버려진 노동자들인데 그것도 하청노동자들이라…. 조선소의 구조조정으로 졸지에 직장 또한 잃게 되었다면, 이제 그들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이 그 무엇일까요. 결국 문제는 노동자들이 스스로 정치세력화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정치권에선 그 누구도 그들의 절박함을 신경 쓰지 않습니다. 내 가족의 일원이 그런 처지에 놓여 있을 가능성은 상존합니다. 결론은 제대로 선거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얘기죠. _경향 hyoker3690
이런 일이 있다니 정말 충격이네요. 안타까운 일을 당한 노동자들을 위로하고 싶습니다. 하루빨리 정부가 대책을 마련해서 하청노동자들이 이런 억울한 일을 당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_네이버 uk90****
옥시는 왜 유한회사로 전환했나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을 법원이 인정하지 않는 한 한국 국민은 싸구려 취급을 받을 수밖에 없다. 배상 안 해주거나 기껏해야 적은 액수만 내도 끝난다. 한국 국민이지만 사건이 영국 법원에서 처리되기를 바라는 서글픈 현실에 대해 법원과 정치인은 반성하고, 하루빨리 징벌적 손해배상의 도입을 추진해야 한다. _네이버 hihb****
왜 한국에서만 독성물질을 썼나. 한국에선 그래도 되니까. 유럽에서는 제도와 사람들의 인식 때문에 철저하게 금지하고 있고, 여론이 주목하지 않더라도 관련 공무원들이 적당히 넘어가지 않고 철저하게 감시하며, 한 번 걸리면 기업이 파산할 정도로 책임을 물리기 때문이다. 기업 활동에 위축된다며 수백명이 죽어도 대충 넘어가는 한국과는 다른 분위기이기 때문이다. 유럽에선 그래야 장사를 할 수 있고 그래야 장사가 되기 때문이고, 한국에선 그 반대로 해도 되기 때문에 그렇게 하면 더 많이 남고 더 편하기 때문에…. 수백명이 죽든 말든. _다음 itj이랑
이게 모두 역대 정부들이 ‘외국’, ‘기업’ 이 두 가지 코드엔 쩔쩔매고, 제대로 관리해 오지 못했던 결과일 따름이다. 이번 정부는 어차피 틀렸고, 다음 정부부터라도 제발 국민의 입장에서 일 좀 똑바로 하자. _다음 여름하늘
테러방지법이 여소야대를 만나면
개정은 무슨 개 풀 뜯어 먹는 소리야. 테러 방지하는 데 따로 법이 필요하다는 자체가 난센스 아닌가. 그런게 필요하다면 도둑방지법, 살인방지법, 성폭력방지법 등 수도 없는 방지법을 만드는 것과 뭐가 다르냐고. 당연히 그 일을 해야 하는 국정원, 경찰 등 정부기관들이 있고 그들이 그냥 자기 할 일을 잘하면 그만 아니냐고. 불순한 목적으로 국민들, 주요 인사들 사찰용으로 만들어진 법은 당연히 폐기해야 한다. _경향 커피
아마 대통령 바뀌면 새누리당이 벌벌 떨지 않을까? 이 법이 꼭 더불어민주당이나 야권에게만 겁을 주는 법일까? 국회선진화법처럼 새누리당이 스스로 발목 잡힌다는 걸 자기들이 모른다면 정말 후회하게 될 법이다. 국민을 겁주는 법을 국민들은 가만두지 않을 것이다. 그게 민주주의 국가이고, 모든 권력은 국민에게 있기 때문이다. _다음 하얀눈길
<주간경향> 1177호 ‘한국 테크노 컬처 연대기-공공성의 추억 공중전화 없애면 서운하죠~’ 기사에서 필자 이름이 잘못 표기돼 바로잡습니다. ‘최형섭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과학기술사’를 ‘전치형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로 정정합니다. 전치형 교수와 최형섭 교수 및 독자 여러분께 깊이 사과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