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젊은이들이 만든 신조어로 ‘모든 것을 포기한 세대’를 의미한다. 여기서 ‘n’이란 부정수, 즉 아직 정해지지 않은 수로 보통 ‘n분의 1’이라고 할 때의 n이다.
보통 청년들은 연애·결혼·출산 세 가지를 포기한 세대를 ‘3포 세대’, 여기에 내 집 마련과 인간관계를 포기한 ‘5포 세대’, 추가로 꿈과 희망을 포기하면 ‘7포 세대’라고 자조적으로 표현한다. 따라서 ‘n포세대’는 취업·연애·결혼·집 마련·인간관계·희망 등 ‘모든 것’을 포기한 세대, 희망을 가지지 못하는 세대라는 의미로 쓰인다.

/ 경향신문 자료사진
보통 n포세대는 ‘흙수저’로 표현되는 요즘 20대 청년을 총체적으로 일컫는다. 일부에서는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경제위기로 직격탄을 맞은 40대도 n포세대에 포함시킨다. IMF 사태로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을 하지 못했던 이들은 미취업과 비정규직으로 인한 잦은 실업,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인한 주거불안 등 경제·사회적 고통을 겪었던 공통점이 있다. 그래서 2040세대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들 세대의 사회적 특징은 ‘불안을 공유하는 세대’라는 점이다. 또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정치적 무관심을 나타냈다. 이는 정치적 변혁을 추구했던 1980년대 학번 출신과 매우 다른 점이다. 그러나 최근 이들 ‘n포세대’의 정치적 성향이 매우 고양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흙수저 청년들의 ‘헬조선’ 구호(사진)가 실제적 정치행위로 나타난 것이 이번 4·13 총선 결과라는 분석이 그것이다.
<원희복 선임기자 wonhb@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