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카퍼필드 만리장성 통과 마술의 비밀?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데이비드 카퍼필드의 만리장성 통과 마술. 어떤 트릭이 사용된 것일까. / 유튜브 캡처

데이비드 카퍼필드의 만리장성 통과 마술. 어떤 트릭이 사용된 것일까. / 유튜브 캡처

“제가 들은 짧은 중국어로는 PD 등 스태프에게 비밀유지 각서를 쓰게 하고, 사다리 타고 넘어갔다고 하네요. 이어진 화면이 아니라 한 5분 정도 편집된 영상이었고요.” 1월 28일, ‘배부른 기마민족’이라는 닉네임을 쓰는 누리꾼이 한 인터넷 게시판에 올린 글이다. 글의 제목은 ‘데이비드 카퍼필드의 만리장성 통과 비밀’이다.

기억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데이비드 카퍼필드의 ‘마술쇼’는 설이나 추석 같은 연휴 때 성룡 영화와 함께 단골로 방영되던 프로그램이다. 위 누리꾼 주장에 따르면 비밀유지 각서 기간이 끝나 같이했던 스태프들이 중국의 CCTV, 국영방송에 나와 좌담을 했는데, 생방송처럼 보였던 영상이 알고 보니 편집된 것이었고, 실제 만리장성을 통과한 것이 아니라 사다리를 타고 넘어갔다고 폭로(?)했다는 것이다.

사실일까. 1986년에 제작된 이 영상은 지금도 유튜브 등에 남아 있다. 마술 중에서도 이런 종류의 마술, 사람이나 물건을 사라지게 하거나 토막냈다가 다시 원상 복구하는 마술을 일루전(illusion)이라고 한다. 카퍼필드는 특히 ‘그랜드 일루전’, 즉 통 크게 아예 하나의 건물을 사라지게 한다든가 하는 장르의 개척자였다. 미국 ‘자유의 여신상’ 증발 마술(1983) 등이 유명하다. 물론 마술이다. 실제 그가 수십m 두께의 돌덩어리로 이뤄진 성벽을 통과했으리라 믿는 사람은 없다. 그렇지만 어떻게?

‘자유의 여신상’의 경우 실제 여신상이 사라진 것이 아니라 관객들이 눈치채지 못하게 느린 속도로 무대를 회전시켰다는 것이 정설이다. 만리장성 마술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트릭’ 역시 실제 흰 장막이 쳐졌을 때 이동식 계단에 그가 숨어 반대편으로 이동했고, 그림자 마임 연기는 그와 비슷한 분장을 한 또 다른 조수가 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 설명이다. 마술업계에서는 어떻게 볼까.

“그냥 추정일 뿐입니다. 카퍼필드 스스로 공개한 적도 없고, 관계자들 역시 방법을 완벽하게 아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해요.” 김원일 마술연구소의 김원일 대표의 말이다. 그는 영상 조작 트릭, 그러니까 별도로 찍은 영상을 잘라 붙였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다. “중국에서 그런 프로그램이 방영되었는지는 모르겠는데, 만리장성 마술을 기획한 사람을 우연히 만난 적이 있습니다. 그 쇼에서 조수로 나온 사람도 실은 프로 중의 프로 마술사입니다. 친분도 없는 엑스트라가 비법을 알 방법은 없어요.”

어린 시절 TV에서 봤던 카퍼필드의 근황도 문득 궁금해진다. 1980년대부터 TV에 단골로 나오던 사람이니, 이젠 할아버지 나이가 됐겠다 싶어 프로필을 조회해 보니, 웬걸 1956년생. 이제 60살이다. 김 대표에 따르면 지금도 라스베이거스에서 마술쇼를 하고 있다고 한다. “한 달 전인가 보러 갔는데 만석이었어요. 여전히 당대의 최고 마술사로 유명합니다.” 명절이면 식상해 하면서도 온 가족이 둘러앉아 TV에서 그의 마술 쇼를 봤던 추억이 새록새록 떠오른다. 유독 생각나는 건 스마트폰을 꿰차고 각자 방에 틀어박혀 따로 노는 요새 명절 분위기에 대한 아쉬움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정용인 기자 inqbus@kyunghyang.com>

언더그라운드. 넷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