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와 몸을 망치는 ‘시간 스트레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신간 탐색]뇌와 몸을 망치는 ‘시간 스트레스’

타임 푸어
브리짓 슐트 지음·안진이 옮김 더퀘스트·1만5000원

해도 해도 할 일이 줄지 않는다. 언제나 바쁘고 시간이 없다. 늘 피곤하다. 두 아이를 둔 워킹맘인 지은이는 늘 시간에 쫓기는 ‘타임 푸어’ 상황에 “더는 이렇게 못살아”라며 백기를 든다. 그는 유명한 시간 연구가를 찾아가 자신의 생활을 점검하고, 시간을 거슬러 고대 그리스인들이 제안한 ‘좋은 삶’의 모습을 살펴본다. 과학자를 찾아가 우리에게 가해지는 ‘시간 압박’이 건강과 뇌에 치명적이라는 이야기도 듣는다. 워킹맘들의 삶이 힘든 이유는 ‘역할 과부하’도 있지만, 노동 밀도가 높기 때문이다.

엄마들은 여러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데, 각각의 역할에서 처리해야 하는 일의 가짓수가 너무 많고 책임은 무겁다. 2004년 미국 국립과학재단이 실시한 종합 사회조사에서 6세 미만의 자녀를 둔 엄마들 가운데 여가가 있느냐는 질문에 ‘예’라고 답한 사람은 하나도 없었다. 육아에 동참하는 남성들이 늘면서 늘 허둥지둥한다고 답한 아빠들의 숫자도 1982년에서 2004년 사이에 두 배 가까이 늘었다. 고작 5%만이 종종 여가를 갖는다고 답했다. 게다가 ‘바빠야 한다’는 것은 일종의 강박이 됐다.

현대인들은 바쁘지 않으면 죄책감을 느낀다. 한정된 시간 내에 최대한 많은 일을 하는 초인적인 능력을 자랑스럽게 여긴다. 자신이 다른 사람만큼 바쁘지 않으면 죄책감을 갖고 더 분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속도를 미덕으로 간주하는 사회가 된 것이다. 그러나 ‘시간 스트레스’는 뇌와 몸을 파괴한다. 쫓기는 삶은 단순히 마음이 불편하거나 힘든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실제로 건강을 해친다는 게 과학적으로 증명됐다. 지은이는 ‘세계에서 가장 여유롭게 사는 나라’ 덴마크 모델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완벽하지는 않지만, 사회가 보육의 책임을 상당 부분 맡고 있으며, 집안일을 구성원들이 합리적으로 분배하는 문화가 정착됐다는 것이다.

시간 시야를 좁히는 것도 덴마크에서 얻은 해법이다. 먼 미래를 걱정하기보다는 시간에 쫓길 때마다 살 날이 5년 내지 10년밖에 남지 않았다고 가정한다면 자신에게 중요한 일이 무엇인가가 좀 더 명확해지고 시간에 덜 쫓길 수 있다는 것이다.

<박송이 기자 psy@kyunghyang.com>

신간 탐색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