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3국의 가옥 문화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신간 탐색]한·중·일 3국의 가옥 문화

집, 인간이 만든 자연
김경은 지음·책보세·1만8000원

집은 한 지역의 문화를 종합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한 나라의 지리와 기후, 한 국가의 과학기술 수준, 한 사회의 생활양식과 가치관, 한 민족의 미의식, 한 지역의 가족제도와 가족의식을 포괄한다. 지은이는 집은 그 자체가 하나의 박물관이라고 말한다.

이 책은 18세기 중엽 한·중·일 3국의 수도에 편재돼 있던 가옥을 분석한다. 시대를 18세기로 잡은 이유는 18세기에 세 나라 모두 문화 정체성이 확립됐기 때문이다.

대륙과 반도,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과 대륙기질, 반도기질, 시마곤조(島根性)라는 지형적 특성이 빚어낸 자연의 미학은 그 독특한 가옥양식에 그대로 반영됐다.

세 나라 가옥문화의 공통점은 그 철학적 토대가 모두 ‘기’와 ‘터’라는 것이다. 한·중·일은 만물의 변화를 기의 변화라고 본다. 가옥에서 기의 기반은 곧 터다. 터와 그 터 위에 집을 짓고 사는 사람은 끊임없이 기를 교환한다.

하지만 터와 기가 배치·교류되는 방식은 각각 다르다. 한국은 산이 터의 중심이다. 임산배수가 최고의 명당이 되는 이유다. 일본은 물이다. 물을 끼고 있는 게 최고의 집터다. 반면 중국은 집터보다는 집의 방향을 중시한다.

세 나라의 가옥형태는 비슷한 점보다 차이점이 더 많다. 이는 가옥형태가 세계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중국 가옥문화의 핵심은 생존이다. 살아남기 위한 치열한 투쟁, 그리고 투쟁 끝에 얻은 지혜가 중국 가옥 속에 배어 있다. 전쟁과 재난이 많았던 중국은 철저하게 가족보호라는 기능에 충실했다. 가옥은 철저한 폐쇄성 원칙을 지녔다.

일본 가옥문화의 코드는 변형이다. 다다미는 방석의 변형이다. 방석에서 방 테두리만 다다미를 깐 오키다다미로, 이것이 다시 방 전체를 깐 다다미로 발전한 것이다. 한국은 융합과 공존이 가옥문화의 핵심이다. 남방문화와 북방문화를 융합한 마루와 온돌, 자연주의 사상과 유교사상이 공존하는 가옥 구성이 대표적이다. 지은이는 각 나라의 특징이 3국의 역사와 문화를 집약해 살펴볼 수 있는 바로미터라고 말한다.

<박송이 기자 psy@kyunghyang.com>

신간 탐색바로가기

이미지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오늘을 생각한다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밤새 뒤척인다. 겨우내 마음 편히 잠을 자지 못해 머리에 스모그가 낀 듯 무겁다. 창밖을 보니 눈이 내린다. 이상기온이 일상이 돼간다. 기후변화의 징후인 3월 중순 눈 쌓인 풍경은 더 이상 아름답지 않고 불길하다. 자연 시스템의 불안정성만큼이나 정치와 사법 시스템 또한 아슬아슬하다.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둘러싼 사회적 긴장은 한국 민주주의가 직면한 불안정성을 드러낸다. 일만 년간 이어온 기후 안정성과 40여 년이 채 안 된 한국의 민주주의는 기간으로는 비할 데 아니지만, 우리 삶에 당연히 주어지는 조건으로 여겨졌던 점은 흡사하다. 이번 겨울 기후환경이든 정치체제든, 우리가 당연하게 여겨온 것들이 얼마나 쉽게 흔들릴 수 있는지 여실히 드러났다. 기후위기와 정치위기라는 무관해 보이는 두 위기는 사실 그 원인 면에서도 맞닿아 있는데, 효율과 성과가 최우선시되는 과정에서 다른 중요한 가치는 간과했다는 점이다. 한국사회는 산업화하는 과정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법을 배웠지만, 화석 연료 중심의 에너지 구조를 전환하는 데 게을렀고, 정치적 다양성과 세대 간의 이해를 구현하지 못했다. 우리는 경쟁을 통해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지만, 이제는 그러한 방식의 성장이 우리 사회를 갉아먹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