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락노동자에게 과잉노동은 쾌락?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책의 원제는 ‘향락 노동자(Genussarbeiter)’다. 저자 스베냐 플라스푈러는 독일의 철학잡지 편집장이다. 현대 독일 사회의 특징이 된 ‘과잉노동’의 철학적 의미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적 통찰에 기대어 풀어내고 있는 이 책은 개념적 체계를 구축하는 이론서라기보다는 철학적 에세이에 가깝다.

<우리의 노동은 왜 우울한가> 스베냐 플라스푈러 지음·장혜경 옮김·로도스·1만4000원

<우리의 노동은 왜 우울한가> 스베냐 플라스푈러 지음·장혜경 옮김·로도스·1만4000원

저자가 말하는 ‘향락노동’이란 ‘즐기면서 하는 노동’이란 뜻이다. “오늘날 우리에게 노동은 더 이상 고통이 아니다. 우리는 좋아서 일을 하고, 필요 이상의 에너지를 일에 쏟아붓기도 한다. 그래서 우리는 전통적 의미에서의 의무 노동자가 아니라 향락 노동자이다.” 저자에 따르면 이런 향락노동은 경쟁과 성취가 지상목표가 된 ‘성과사회’에서 나타나는 특성이다. 성과사회에서 노동은 고통이 아니라 쾌락의 원천이다. 성과사회의 향락노동자는 오히려 일하지 않을 때 고통을 느낀다.

이것은 노동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과는 대척점에 서 있는 인식 태도인데, 한병철 교수의 <피로사회>와 맥락이 통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한 교수는 자본주의가 생산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사람들에게 자유를 주는 대신 사람들이 스스로를 착취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과잉노동을 고통이 아니라 쾌락으로 받아들이는 상태는 분명 정상이 아니다. 문제는 정상이 아닌 상태가 현대사회에서는 정상으로 간주되고 있다는 점이다. 저자가 말하는 ‘과잉노동’은 몇몇 개인에 국한된 노동 패턴의 문제가 아니다. 과잉노동은 현대사회의 특징을 압축적으로 드러내는 표상이다.

노동을 쾌락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은 노동에서 고통의 요소를 가상적으로 배제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현대인의 웰빙풍조는 생활패턴이나 식생활에서 일체의 자연적 위험요소를 배제하고 매끈하고 안전한 만족만을 추구한다. 성 자체가 가진 날것 그대로의 에너지는 증발시켜버린 채 성을 시각적 상품화의 대상으로 전락시키는 성산업의 발전이나 성형의 유행, 끊임없는 소비를 부추기는 소비문화도 같은 맥락이다.

이 같은 노동과잉, 소비과잉, 성형과잉의 배후에는 실존적 공허함에 대한 공포심이 자리잡고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일중독, 과잉행동 환자들은 죽음에 대한 공포 때문에 일을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저자는 “놓아두기”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성과를 내기 위해 맹목적으로 돌진하는 대신, 불안을 제거하기 위해 일이나 소비에 중독되는 대신, 삶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내 맘대로 할 수 없는 상태”를 인정하라는 것이다.

<정원식 기자 bachwsik@kyunghyang.com>

신간 탐색바로가기

이미지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오늘을 생각한다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밤새 뒤척인다. 겨우내 마음 편히 잠을 자지 못해 머리에 스모그가 낀 듯 무겁다. 창밖을 보니 눈이 내린다. 이상기온이 일상이 돼간다. 기후변화의 징후인 3월 중순 눈 쌓인 풍경은 더 이상 아름답지 않고 불길하다. 자연 시스템의 불안정성만큼이나 정치와 사법 시스템 또한 아슬아슬하다.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둘러싼 사회적 긴장은 한국 민주주의가 직면한 불안정성을 드러낸다. 일만 년간 이어온 기후 안정성과 40여 년이 채 안 된 한국의 민주주의는 기간으로는 비할 데 아니지만, 우리 삶에 당연히 주어지는 조건으로 여겨졌던 점은 흡사하다. 이번 겨울 기후환경이든 정치체제든, 우리가 당연하게 여겨온 것들이 얼마나 쉽게 흔들릴 수 있는지 여실히 드러났다. 기후위기와 정치위기라는 무관해 보이는 두 위기는 사실 그 원인 면에서도 맞닿아 있는데, 효율과 성과가 최우선시되는 과정에서 다른 중요한 가치는 간과했다는 점이다. 한국사회는 산업화하는 과정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법을 배웠지만, 화석 연료 중심의 에너지 구조를 전환하는 데 게을렀고, 정치적 다양성과 세대 간의 이해를 구현하지 못했다. 우리는 경쟁을 통해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지만, 이제는 그러한 방식의 성장이 우리 사회를 갉아먹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