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 지지강도, 새누리당 세고 민주통합당 약해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여론조사는 세상을 보는 유용한 도구이지만 맹점이 많다. 어떤 대상들의 지지도를 비교할 때 특히 그렇다. 단순 수치 뒤에 숨어 있는 강도(强度)를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A의 지지도가 10%, B의 지지도가 10%라고 할 때 동일한 지지도를 갖고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꼭 맞는 건 아니다. 왜냐하면 지지강도는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매우 강하게 지지하는 10%인지, 아니면 약하게 지지하는 10%인지에 따라 같은 값이 아닐 수도 있는 것이다.

최근 정당지지도를 보면 새누리당은 45%였다. 민주통합당은 29.5%였다. 이 경우 대개 양당간 15.5%포인트의 격차를 보였다고 읽는다. 하지만 지지강도에 따라 15.5%포인트는 실제로는 더 클 수도, 더 작을 수도 있는 것이다.

각 정당을 지지한다고 답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어느 정도의 강도로 지지하는지 재차 물어보았다. 매우 약하게 지지한다면 1, 보통 수준으로 지지하는 것이라면 3, 매우 강하게 지지한다면 5라고 하고, 1에서 5 사이의 숫자로 답해달라고 했다.

[KSOI의 여론스코프]정당 지지강도, 새누리당 세고 민주통합당 약해

새누리당 지지층에서는 매우 강하게 지지한다는 5가 32.1%로 높은 편이었다. 반면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매우 강하게 지지한다는 5가 18.7%로 높지 않았다. 그러니까 새누리당 지지도가 더 높기도 하지만 지지층의 지지강도도 훨씬 더 높다는 것이다. 지지층들의 정당 일체감이 새누리당에서 더 높다는 것이다. 그만큼 민주당 지지층의 지지강도는 허약함을 알 수 있다. 민주당의 경우에는 보통 수준으로 지지한다는 3이 38.1%로 가장 높았다.

지지강도가 세면 그만큼 지지 이탈 가능성이 크지 않음을 의미한다. 위기상황에서도 지지층이 견고하게 받쳐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지지강도가 약하면 그만큼 지지 이탈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고, 탄탄한 지지층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기도 하다. 위기상황에서는 지지층이 흔들릴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다.

양당 텃밭에서도 지지강도 차이
이념성향별로 보더라도 이런 현상은 나타난다. 진보층에서는 보통 수준으로 지지한다는 3이 40.8%로 매우 높았다. 반면 보수층에서는 매우 강하게 지지한다는 5가 40%로 가장 높았다. 진보층이 지지하는 정당보다 보수층에서 지지하는 정당이 더 튼튼하다는 것이다.

지역별로 보아도 이런 현상은 이어진다. 대구/경북지역 거주자들이 지지를 표출하는 경우 5가 38.5%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호남지역 거주자들은 보통 수준으로 지지한다는 3이 42.9%로 가장 높았고, 5는 17.2%에 그쳤다. 그러니까 양당의 텃밭에서조차도 지지강도는 현격하게 차이가 나고 있는 것이다.

연령에서도 마찬가지다. 새누리당을 주로 지지하는 60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5가 42.5%로 가장 높았다. 반면 20∼30대에서는 5가 20%를 넘지 않았다.

지지강도는 다른 말로 하면 지지층과 정당 간 거리라고 할 수도 있겠다. 강도가 높으면 지지층과 지지하는 정당이 매우 친밀하다는 것이며, 강도가 낮으면 지지층이 해당 정당을 지지하기는 하지만 친밀함을 느끼지는 못하다는 것이기도 하다. 정당이 안정적이려면 단지 지지도를 높이려고만 할 것이 아니라 지지층과의 일체감을 높이며 거리감을 줄여 더 가까워지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 선거철에 지지층을 확장하는 데 역할을 하는 자발적 선거운동원들을 쉽게 확보하게 될 것이다.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조사분석실장>

KSOI의 여론스코프바로가기

이미지
용산의 역경루
오늘을 생각한다
용산의 역경루
공손찬은 중국 후한 말 북방민족들이 이름만 들어도 벌벌 떨 정도로 위세를 떨쳤던 화북의 군벌이다. 오늘날 베이징 근처 유주를 근거지로 세력을 키웠던 공손찬은 백마의종이라는 막강한 기병대를 중심으로 황건적과 만리장성 넘어 이민족들을 토벌하며 군세를 넓혀갔다. 탁월한 군사적 재능을 갖췄으나 성품이 포악했던 공손찬은 폭정을 일삼으며 민심을 크게 잃는다. 왕찬이 기록한 <한말영웅기(漢末英雄記)>에 의하면 공손찬은 자신의 얼굴을 똑바로 쳐다본다는 이유로 부하를 죽이는가 하면 유능한 관료들을 쫓아내고 점쟁이를 측근에 등용하는 등 막장 행각을 벌였다. 하루는 백성들 사이에서 덕망 높았던 관리 유우를 저자에 세워놓고 ‘네가 천자가 될 인물이라면 비가 내릴 것이다’라고 말한 뒤 비가 내리지 않자 그 자리에서 죽여버렸다. 분개한 수만의 유주 백성들은 유우의 아들과 합세해 공손찬을 공격했고, 라이벌 원소와 이민족들까지 연합해 공격하니 공손찬은 고립무원에 처한다. 사방이 포위된 공손찬은 기주 역현에 거대한 요새를 짓고 농성에 들어가니 이 요새가 역경성이다. 자신의 남은 전력을 요새 건설에 쏟아부은 공손찬은 “300만석의 양곡을 다 먹고 나면 천하정세가 달라질 것이다”라고 말하고 외부와 연락을 끊은 채 향락에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