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격차(information gap) 문제는 인터넷 선진국 대한민국도 예외가 아니다. 컴퓨터를 통한 인터넷 정보격차에 대해서는 그간 정부와 기업 등에서 취약계층에 대해 다양한 지원을 해왔다. 하지만 최근에 부상한 스마트폰 기기 및 사용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스마트기기 정보격차에 대해서는 아직 이렇다 할 노력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스마트기기를 통한 정보화는 일반인들에게 보편화돼가고 있지만 저소득층·장애인·노년층·농어민 등 취약계층에게는 그렇지 않다.
정보화진흥원에서 지난해 실시하고 최근 발표한 ‘2011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 연구에 따르면 취약계층이 스마트기기(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보유와 사용에 있어서도 매우 취약한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일반 국민의 모바일 인터넷 접속기기 보유율은 39.6%(2011년 10월 기준)였는데 취약계층은 8.6%로 일반 국민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2010년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전체 국민의 경우 14.5%, 취약계층의 경우 1.3%였는데, 이와 비교하면 전체 국민은 25.1%포인트 증가했지만 취약계층은 7.3%포인트 증가하는 데 그쳤다. 취약계층의 스마트폰 보유율 수준은 전체 국민 보유 비율을 100으로 볼 때 21.7%로 5분의 1 수준이라고 연구보고서는 밝히고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물었는데 ‘이용비용의 부담’이라는 응답이 33.6%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스마트폰 이용 용도를 모름(이용 효용성 모름)’이 26.8%로 높은 편이었다. 그 외 ‘필요성 부재’ 16.0%, ‘사용방법의 어려움’ 14.9%, ‘기존 휴대폰 약정이 남음’ 4.7%, ‘신체장애로 인한 이용의 어려움’ 2.9%, ‘무료접속 시설의 부족’ 1.0% 순이었다.
개별 응답으로는 ‘비용 부담’이 높지만, ‘이용 용도를 몰라서’와 ‘사용방법이 어려워서’ 사용하지 못한다는 응답을 합치면 41.7%로 가장 높아진다. 이러한 응답은 스마트기기에 대한 정보가 이들 취약계층에게 충분히 전달조차 되고 있지 못함을 의미한다.
스마트폰 환경서 소외되지 않게 지원해야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취약계층들은 이를 통해 ‘일상생활이 편리해졌다’(60.5%), ‘뉴스나 새로운 소식을 더 빨리 알게 되었다’(55.8%),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는 시간이 줄었다’(54.8%), ‘더 많은 정보나 지식을 얻게 되었다’(51.7%), ‘새로운 자기계발의 기회를 얻게 되었다’(38.6%),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거나 참여할 기회가 많아졌다’(37.2%) 등 긍정적 반응을 내놓고 있다.
고작 8.6%에 불과한 취약계층의 기기 보유율 문제를 개인과 각 가정에게만 맡기지 말고 이들이 스마트환경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사회적 지원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초기에 신경쓰지 않으면 격차는 손쓸 수 없을 정도로 커져버릴 수 있다. 연구보고서가 제안하고 있듯이 이용비용에 대한 할인, 장애인·노년층 등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기 보급, 이들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공공 애플리케이션 개발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윤희웅<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조사분석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