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준비 빠를수록 좋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재무설계]노후준비 빠를수록 좋다

‘36.0%’. 2010년 통계청 사회조사 결과 “부모의 노후를 가족이 돌봐야 하는가?”에 대해 “그렇다”고 답한 수치다. 최근 우리나라 국민 의식을 보면 노후는 스스로 책임지고 자녀에게는 도움을 받지 않겠다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자녀와의 동거도 대부분 원치 않는다.

위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부모의 노후생계는 가족과 정부·사회가 함께 돌보아야 한다는 견해가 47.4%로 가장 많고, 다음이 가족으로 36.0%였다. 부모의 노후생계에 대해 가족과 정부·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을 져야 한다는 비중이 증가하고, 가족이 돌봐야 한다는 견해는 큰 폭으로 감소하여 부모 부양에 대한 의식이 빠르게 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통계에 따르면 현재 부모의 생활비 주제공자는 ‘자녀’ (51%), ‘부모 스스로 해결’(48%), ‘기타’(0.3%) 순이었다. 부모 부양에 대한 빠른 의식 변화와 달리 아직까지 많은 사람이 노후를 자녀에게 의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자녀에게 의지하지 않겠다’는 생각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이야기다. 스스로 준비하겠다는 강한 의지와 계획 수립, 실행을 통해 수명 100세 시대를 슬기롭게 맞이해야 한다.

특히 20~30대는 각별히 준비가 필요하다. 40~50대가 되면 자녀교육비와 주택자금 수요 등 상대적으로 노후자금 준비가 더욱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시작이 반’이라 했다. 20대는 첫걸음이 중요하다. 여유자금의 70% 정도를 펀드, 주식과 같은 적극적인 금융자산에 투자해 결혼과 조기 주택 마련 등 목적자금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고, 나머지 30% 금액은 노후 대비 변액연금(주식 투자 비중 50%)에 가입하는 것이 좋다.

30대의 경우 결혼자금, 주택 마련 자금, 자녀 보육부담 등 지출이 많아지는 시기다. 이 시기부터는 변액보험, 일반연금보험 등 연금상품의 종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자녀 사교육비의 50% 수준 정도에서 별도의 연금통장을 마련해야 한다. 이렇게 20~30대에 노후대책을 순조롭게 진행하다면 40~50대 들어서는 부담이 훨씬 줄 것이다.

<조정목 | KFG 공인재무설계사>mm8922@nate.com

재무설계바로가기

주간경향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