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경제교류 지속해야” 56%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연평도 포격사건으로 ‘도발엔 단호한 대응, 하지만 전쟁은 반대’로 요약되는 북한 도발에 대한 기본 여론의 흐름이 변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과거 도발에 비해 충격과 불안이 더 크다는 것은 틀림없는 것 같다. ‘전쟁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2006년 북핵실험 때보다 2배나 높아졌기 때문이다. 최근 상황을 감안할 때 5년 이내에 전쟁이 발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지 물었는데, ‘있다’는 응답이 35.1%였다. 물론 ‘전쟁 가능성이 없다’는 응답 60.7%에 비해서는 낮은 수치이지만 지난 2006년 10월 북핵실험이 있을 때의 조사 결과인 18.0%와 비교하면 증가치가 상당함을 알 수 있다(KSOI, 2006.10.10. 조사). 3대세습으로 북한 정세의 불안정성이 더욱 커졌다는 인식도 이러한 결과 변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전쟁 가능성, “있다”35% vs “없다”61%

[KSOI의 여론스코프]“남북 경제교류 지속해야” 56%

이렇게 ‘전쟁 가능성이 있다’는 여론은 변화가 크게 나타났지만 그다지 변하지 않은 것도 있다. 바로 남북교류사업 중단 여부에 관한 여론이다. 개성공단 등 현재 진행 중인 남북교류사업을 어떻게 해야 한다고 보는지 물었는데 ‘정치적 문제와는 별도로 경제분야의 남북교류는 지속해야 한다’는 응답이 56.1%, ‘연평도 도발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중단해야 한다’는 응답은 41.2%로 나왔다. ‘지속해야 한다’는 응답이 ‘중단해야 한다’는 응답에 비해 15%포인트 정도 더 높은 것이다.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은 서울, 충청 및 호남 지역, 남성, 30대와 40대, 대재 이상 학력층, 월 평균 200만~400만원의 중간소득층, 블루칼라 및 화이트칼라층, 주관적 이념성향이 진보인 층에서 특히 높은 편이었다. 반면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은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지역, 60세 이상, 중졸 이하 학력층, 농림어업, 주부 및 학생층, 주관적 이념성향이 보수인 층 등에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이번의 ‘지속해야 한다’는 응답 56.1%는 지난 2006년 10월 조사 결과인 52.9%에 비하면 오히려 약간 더 높기까지 하다. 이번 연평도 포격사건으로 북한과의 대립관계가 지속되는 것에 대해서는 거부감이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리고 경제교류사업 등을 통해 평화적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여론이 여전히 우위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지속해야 한다’는 응답의 경우 20~30대의 젊은층 외에도 보수적 성향을 보이는 40대와 50대의 중장년층에서도 나타나고, 주관적 이념성향이 보수인 층에서도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한다.

한편 차기 대권주자들의 지지도는 1개월 전인 10월 30일 조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아졌다. 지난 2006년 가을 북핵실험 때는 국가위기라는 인식과 함께 강한 리더십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이명박 후보의 지지도가 급상승하는 현상이 있었지만 이번의 경우 아직까지 뚜렷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회창’(1.9%→3.7%)과 ‘정동영’(1.8%→3.9%)의 경우 소폭 증가가 나타났지만, ‘박근혜’(33.8%→29.3%), ‘유시민’(10.0%→7.4%), ‘손학규’(7.5%→5.2%), ‘김문수’(6.2%→5.1%), ‘오세훈’(5.8%→4.6%) 등 대부분 하락했다. 반면 ‘모름/무응답’의 경우 10%포인트 가량(25.2%→35.8%) 높아졌는데, 이는 유권자들의 차기 지도자 선택에 대한 고민이 더욱 커졌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윤희웅<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조사분석실장>

조사개요 시기 2010. 12. 1. 방법 전화면접조사 대상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0명 오차범위 95% 신뢰수준에서 ±3.1%P 응답률 21.4%

KSOI의 여론스코프바로가기

주간경향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