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문은 어디에 있을까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토문강의 어원이 되는 흙문이 절벽처럼 돼 있다. <박은선 교사 제공>

토문강의 어원이 되는 흙문이 절벽처럼 돼 있다. <박은선 교사 제공>

토문강은 두만이라는 이름에서 나온 것일까, 아니면 흙으로 된 문을 의미하는 토문(土門)에서 나온 것일까. 1712년 백두산 정계비에 토문이라는 이름이 새겨진 이후로 이 논쟁은 300년 동안 지속됐다. 중국 측은 ‘토문강=도문강=두만강’으로 모든 이름이 비슷하지만 같은 줄기에서 나왔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반면에 한국 측은 토문강은 두만강과 다른 이름으로, 토문강 물줄기는 흙으로 된 문에서 비롯됐다고 주장했다.

한국 측 주장대로라면 토문강의 진위는 정계비 인근에서 연결된 물줄기에 토문이 존재하는가 여부로 알 수 있다. 이 토문은 일제가 1907년 간도 용정에 통감부 파출소를 설치한 이후 토문강을 답사하면서 쓴 답사보고서에 나타난다. 당시 파출소장인 사이토 스에지로(齋藤季治郞)가 10월18일 통감공작인 이토 히로부미에게 보낸 토문강 답사보고서는 1975년 국회도서관에서 발행한 ‘간도영유권 관계 발췌문서’에 번역돼 실려 있다.

석퇴와 토문 본 사람은 많지 않아
그 (석퇴의) 종말점에 양쪽 높이 약 100m의 단애가 있는데 소위 토문이라 칭하는 것이 이것인 것 같다. 하천의 형상을 따라 울창한 대삼림 속으로 달려 약 4리 더 가니 방향을 북으로 돌린다. 토문에서 약 3리 사이는 큰 돌이 여기저기 떨어져 있는 조약돌 내이며, 거기서부터는 사천(沙川)이 된다. (중략) 방향을 북으로 돌리고 나서는 약 18리 지나 곧 낭낭고(일명 연일고) 부근에 이르러 다시 방향을 서(西)로 돌려 소사하를 거쳐 드디어 송화강으로 들어간다.

백두산 정계비-석퇴(돌무더기)-토문-송화강으로 이어지는 곳을 직접 답사한 보고서다. 정계비(터)를 본 사람은 많지만 석퇴와 토문을 본 사람은 많지 않다. 북한이나 중국에서 이곳에 접근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이다. 북한에서 발행한 <백두산 총서-기상수문편>에는 중국에서 오도백하로 불리는 토문강이 사도백하로 나타나 있다. 사도백하에 대한 설명에서 “대각봉계선의 해발 높이 2100~2120m에는 웃면이 열린 조면암의 자연갱도가 72m 길이로 발달돼 있다”라고 적혀 있다. 흙으로 된 문인 토문을 말하는 것이다.

2005년에 중국 연변의 한국학교에서 초빙교사로 일한 박은선 교사가 중국쪽을 통해 토문강의 토문을 찾아 사진으로 남겼다. 그가 쓴 <어! 발해가 살아 숨쉬고 있네?>(아이필드)에는 이렇게 나타나 있다.

신기한 지형이었다. 이런 지형이 또 어디에 있을까. 예상치 못한 장관에 역사 답사를 왔다는 사실마저 잊었다. <지오그래픽>의 사진 한 장을 보고 있는 듯했다. 오른쪽, 왼쪽 순서를 바꾸어 병풍처럼 펼쳐진 검은 흙벽. 더 깊숙이 들어가자 아예 양옆으로 흙벽이 높게 세워져 있었다. 흙벽의 높이는 무려 우리 키의 네 배를 넘었다.

박 교사는 “북한쪽이나 중국쪽 모두 이런 벽이 있었고, 절벽처럼 보이지만 흙벽이었다”고 말했다. 박 교사가 토문을 발견한 곳은 북한과 중국의 9호와 10호 국경비 사이다. 토문강이라는 이름의 유래인 토문은 수천년 동안 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이 사실만 보더라도 역사적 사실은 얼마든지 왜곡할 수 있지만 지리적 사실은 왜곡할 수 없음을 잘 알 수 있다.

<윤호우 기자 hou@kyunghyang.com>

간도오딧세이바로가기

주간경향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미지
용산의 역경루
오늘을 생각한다
용산의 역경루
공손찬은 중국 후한 말 북방민족들이 이름만 들어도 벌벌 떨 정도로 위세를 떨쳤던 화북의 군벌이다. 오늘날 베이징 근처 유주를 근거지로 세력을 키웠던 공손찬은 백마의종이라는 막강한 기병대를 중심으로 황건적과 만리장성 넘어 이민족들을 토벌하며 군세를 넓혀갔다. 탁월한 군사적 재능을 갖췄으나 성품이 포악했던 공손찬은 폭정을 일삼으며 민심을 크게 잃는다. 왕찬이 기록한 <한말영웅기(漢末英雄記)>에 의하면 공손찬은 자신의 얼굴을 똑바로 쳐다본다는 이유로 부하를 죽이는가 하면 유능한 관료들을 쫓아내고 점쟁이를 측근에 등용하는 등 막장 행각을 벌였다. 하루는 백성들 사이에서 덕망 높았던 관리 유우를 저자에 세워놓고 ‘네가 천자가 될 인물이라면 비가 내릴 것이다’라고 말한 뒤 비가 내리지 않자 그 자리에서 죽여버렸다. 분개한 수만의 유주 백성들은 유우의 아들과 합세해 공손찬을 공격했고, 라이벌 원소와 이민족들까지 연합해 공격하니 공손찬은 고립무원에 처한다. 사방이 포위된 공손찬은 기주 역현에 거대한 요새를 짓고 농성에 들어가니 이 요새가 역경성이다. 자신의 남은 전력을 요새 건설에 쏟아부은 공손찬은 “300만석의 양곡을 다 먹고 나면 천하정세가 달라질 것이다”라고 말하고 외부와 연락을 끊은 채 향락에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