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땅콩 - 쓰임새 다양한 ‘팔방미인‘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우리 농산물의 재발견

쇼핑나온 주부들이 땅콩을 고르고 있다. <김석구 기자>

쇼핑나온 주부들이 땅콩을 고르고 있다. <김석구 기자>

2000년 2월 타계한 찰스 슐츠는 한 달 전 그동안 연재한 만화를 마무리하며 감동적인 작별 인사를 남겼다.

“사랑하는 친구들에게/ 50년 동안 찰리 브라운과 그의 친구들을 그릴 수 있어서 난 매우 행복했어/ 찰리 브라운·스누피·라이너스·루시/ 어떻게 이들을 잊을 수 있을지….”

이 만화의 제목은 <피너츠(Peanuts)>다. 속어로 ‘하찮은 것들’이나 ‘보잘것없는 사람들’이란 뜻이라고 한다. 하지만 장로교회 목사 로버트 쇼트가 이 만화를 신학적으로 읽어낸 <피너츠 복음(Gospel according to Peanuts)>에 따르면, 땅콩(피너츠)의 딱딱한 껍질을 벗겨야 고소한 알맹이의 맛을 볼 수 있듯이 <피너츠> 만화의 각피 속에는 깨우침을 주는 복음이 담겨 있다. <피너츠 복음>은 미국에서만 1000만 부 이상 팔렸다.

<땅콩박사>라는 책도 있다. 땅콩으로 세상을 바꾼 위대한 발명가 조지 카버의 숭고한 삶에 대한 책이다. 우유와 플라스틱·치즈·샐러드유·세면 크림·잉크·닭고기(하고 똑같은 맛이 나는 고기)·커피·접착제·인조대리석. 이 중 땅콩으로 만들 수 없는 것은 무엇일까. 정답은 ‘없음’이다. 이 모든 것을 조지 카버가 만들었다. 남북전쟁 시기에 흑인 노예로 태어나 온갖 역경 속에서도 그는 배움의 끈을 놓지 않았고 100여 가지의 음식물과 200여 가지의 제품을 개발했다. 카버는 이 모든 기술을 인종과 직업에 상관없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대가 없이 나눠줬다.

이처럼 땅콩이 오만 가지 쓰임새를 갖는 것은 기름이 44~56%, 단백질도 22~30%에 달할 정도로 함량이 높고 품질도 매우 좋기 때문이다. 볶을 때 나는 고소한 향은 다른 어떤 식품에서도 얻을 수 없을 만큼 독특하다. 기호식품으로 인기가 높고, 땅콩 버터와 고급 식용유를 만들 수 있으며 그밖에 가공식품과 공업용·의약용으로 두루 쓰인다.

콜레스테롤·동맥경화증 예방
중남미가 원산지로 우리나라엔 1800년대 초에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땅콩은 당연히 땅속에 열리는 콩이다. 하지만 고구마나 감자와 달리 원래 땅속 부위가 자라는 것은 아니다. 다소 특이한 방법으로 열매를 맺는데, 처음엔 다른 일반적인 작물처럼 땅 위 부분에서 꽃이 핀다. 그러다 수정이 되면 꽃대가 길게 늘어나 땅속으로 파들어간다. 이것이 땅속에서 점점 자라 땅콩이 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한자로 땅콩을 낙화생(落花生)이라고 부른다.

땅콩에 가장 많이 들어 있는 성분은 불포화 지방산으로 혈관벽에 붙은 콜레스테롤을 씻어내며, 혈관 벽을 청소하는 비타민 E도 다량 함유돼 있어 동맥경화증을 예방한다. 비타민 E는 세포를 튼튼하게 하고 철의 흡수를 도우며 노화를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비타민 B1과 B2도 풍부해 스테미너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머리를 좋게 하는 레시틴도 많이 들어 있다. 한방에서는 위와 폐를 보호하며 젖을 잘 나오게 하고 메스꺼움과 오랜 기침에 좋다고 한다. 변비와 당뇨병 치료, 숙취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꼬투리째 땅콩을 고를 때는 바깥 껍질과 알땅콩 사이에 공간이 없이 꽉 찬 것이 좋다. 알땅콩은 품종 고유의 색깔과 맛이 나야 한다. 크기와 모양이 균일하고 빛깔이 깨끗한 것이 좋은 땅콩이다. 땅콩을 볶을 때는 껍질이 잘 벗겨지지 않아야 하지만 볶은 다음에는 쉬 벗겨져야 한다.

<김경은 기자 jjj@kyunghyang.com>

캠페인바로가기

주간경향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