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채진 검찰총장 내정자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떡값 구설’로 가시밭길이 ‘보인다’

[1000자 인물비평]임채진 검찰총장 내정자

임채진 검찰총장 내정자가 차기 검찰총장에 임명될 것으로 ‘보인다’. 11월 13일 인사청문회를 실시한 국회 법사위가 ‘조건부 적합’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인사청문회에서 나경원 의원(한나라당)은 ‘보인다’는 식의 검찰 표현을 문제삼았다. 지난 8월 한나라당의 경선과정에서 검찰은 도곡동 땅 의혹에 대해 “제3자의 것으로 보인다”는 모호한 결론을 내렸다. 나 의원은 2002년 대선과정에서 검찰이 “(이회창 후보의 장남인) 정연씨가 체중을 고의로 감량한 증거는 없지만 병역을 면제받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는 표현으로 대선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이날 나 의원은 검찰이 BBK사건에 대해서도 ‘보인다’는 식으로 발표할까봐 우려된다고 말했다.

임 검찰총장 내정자는 차기 검찰총장에 임명될 것으로 ‘보이지만’, 험난한 과정을 거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임 내정자는 이날 청문회에서 곤욕을 치러야 했다. 청문회를 바로 코앞에 두고 천주교 정의구현 사제단에서 임 내정자를 삼성 관련 ‘떡값 검사’로 지목했기 때문이다. 김용철 변호사(전 삼성 법무팀장)는 부산고 선배인 이우희 전 삼성 구조본 인사팀장이 임 내정자를 전담했다고 주장했다.

청문회에서 임 내정자는 떡값을 받은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또한 떡값을 건넨 것으로 김 변호사가 주장한 이우희 전 인사팀장에 대해서는 “고등학교 선배이고 사적인 모임에서 한두 번씩 봤지만 1년에 몇 번씩이나 만났는지는 전혀 기억이 없다”고 말했다. 임 내정자는 또 이우희 전 인사팀장과의 골프에 대해서도 “가끔 선배들 때문에 어울리는 경우는 있지만 (이 전 인사팀장과 골프를 한) 기억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사퇴 요구를 거부했다. 임기 2년의 검찰 총수에 오르는 임 내정자는 앞으로도 계속 가시밭길을 걸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의 연루 의혹을 뿌리치고 진실을 규명해야 하는 임무에다, 대선을 앞두고 BBK 주가조작 사건을 공정하게 수사하도록 지휘해야 하는 임무가 있다. 대통합민주신당과 한나라당은 서로 대선 정국에 유리한 국면을 조성하기 위해 검찰을 압박하고 있다. 인사청문회 내내 임 내정자가 반복한 말은 “법과 원칙에 따라”였다. 어떤 상황을 가정한 질문에 대해서도 임 내정자는 “가정적 상황을 전제로 한 질문에는 답할 수 없다”고 되풀이했다.

법과 원칙에 따라 검찰총장에 임명되고, 법과 원칙에 따라 BBK 사건을 수사하면 모든 일이 쉽게 풀릴 것으로 ‘보이지만’ 누구를 위한 법과 원칙인지가 분명하지 않다. 서로 자신의 이익에 따라 잣대를 들이대고 ‘법과 원칙대로’를 부르짖고 있는 상황에서 대통합민주신당은 대통합민주신당대로, 한나라당은 한나라당대로 그의 법과 원칙을 기대하고 있다.

그의 진로는 여전히 ‘보인다’는 모호한 표현 속에 존재할 뿐이다. 그 때문에 차기 정부가 출범한 후에야 그의 잔여 임기도, 행로도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

<윤호우 기자>

1000자 인물비평바로가기

주간경향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