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의 법칙’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삼성 그룹은 직원과 제품, 고객을 철저하게 관리한다. 삼성의 규모가 작았을 때는 이러한 ‘관리’와 ‘철저함’이 큰 강점이었다. 하지만 삼성이 국가 경제와 사회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 지금에 와서 그 관리는 국가와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기 쉽다. 그것은 명백한 ‘불법’이다. 미디어다음 아고라에 ‘누구세호’라는 네티즌이 ‘삼성 때리기와 노무현 때리기. 공포와 위협 사이’라는 글을 올렸다. <朱>

(전략) 올해 초 삼성 이건희 총수는 삼성 위기론과 대한민국 위기론이라는 것을 설파했다. 삼성이 지금은 잘 나가는 회사지만, 언제든지 위기에 봉착할 수 있고, 삼성의 위기는 대한민국의 위기를 불러올 것이라는 요지의 말이었다. 그 파장은 실로 엄청났다. (중략) 이건희 회장의 장남 이재용 씨에 대한 변칙증여 사건이 재판에 계류 중이던 시점에 터져나온 ‘삼성 위기론’은 ‘대한민국 위기론’을 일으켰고, 재판은 또 다시 연기되었다. (중략) 정몽구 회장까지 재판을 받았지만 이건희 회장은 건재했고, 대한민국 국민들은 대한민국이 삼성 공화국이라는 말을 다시 한 번 실감했다. (중략) 한 그룹의 총수가 제왕처럼 대접받고, 그룹의 온갖 부조리와 횡포에도 불구하고 법의 잣대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를 말하자면, 그것은 바로 ‘공포(Phobia)’와 ‘위협(Menace)’일 것이다. 공포라는 것은 실체가 없고 가능성도 낮으며 증명하기도 어렵다. 반면 위협은 실체가 있으며 가능성도 높고 입증 가능한 것이다. 삼성은 ‘삼성 위기론’과 ‘대한민국 위기론’이라는 ‘공포’를 매우 잘 이용해왔다. 이건희가 없으면 삼성이 망하고, 삼성이 망하면 대한민국이 망한다는 공포는 경제성장에 목말라하는 대한민국의 장삼이사들을 잠재적인 공포로 몰아넣었다. 그리고 평소 떡값이라는 이름의 당근과 퇴직 고위 공직자 특채제도는 사회 지도층이 삼성의 굴레에서 자유로울 수 없게 만드는 ‘위협’이었다. 그러한 공포와 위협이 삼성이라는 울타리를 법의 무풍지대로 만들어주었다. 하지만 이제 많은 국민이 이러한 공포와 위협에 대해서 더는 방관할 수 없다는 점을 깨닫기 시작했다. (중략) ‘황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메모리 반도체 칩의 용량 집적 기술이 1년마다 두 배로 향상된다는 법칙인데, 7년 동안 삼성 반도체는 이 법칙을 사실로 입증해보였다. 하지만 이제 우리 국민들은 ‘삼성의 법칙’이라는 것을 각성해야 할 시점이다. 삼성의 부조리와 횡포와 무법이 1년 지속될 때마다, 대한민국의 위기는 두 배씩 증대한다는 것을 말이다. 이건희 회장이 법의 처벌을 받으면 삼성은 망하는가? 삼성이 망하면 대한민국은 망하는가? (후략)

펌·펌·펌바로가기

주간경향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