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길 “외고·자사고 폐지”
뉴스메이커와 KYC가 공동으로 기획한 ‘2007 대선캠페인’ 다섯 번째 순서인 사교육 집담회와 관련, 대선(경선) 후보들이 이에 대한 공약(입장)을 보내왔다.
한나라당 이명박 대선 후보는 “공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학교·교사의 경쟁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학교정보를 공개하고 교원평가제 등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사교육에 대해 “교과 심화 학습은 되도록 학교 내로 끌어들여야 하지만 예체능·기술 등 특수영역은 방과 후 학교를 활성화해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대통합민주신당 손학규 후보는 “사교육비를 절감하는 방안은 공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뿐”이라며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수준에 맞는 수업을 선택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손 후보는 유치원 교육의 공교육화, 실질적 의사소통이 가능한 영어 교육방식 도입 등도 제시했다.
정동영 후보는 “학급당 학생 수를 줄여 교사가 학생을 하나하나 돌보는 체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 후보는 “사교육을 통하지 않고도 다양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며 주거 밀착형 문화예술회관 겸 도서관인 ‘문화예술지식 사랑방’ 1000곳 조성 계획을 제시했다.
이해찬 후보는 “초등생 사교육은 교육부 장관시절 시작했던 방과 후 학교를 확대 실시해 풀어나가겠다”면서 중·고등생 사교육에 대해서는 “e-러닝을 통해 모든 학생이 우수한 강의를 이용하게끔 하겠다”고 말했다.
한명숙 후보는 “저소득층 밀집지역의 교육환경 개선사업에 우선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 후보는 또 외국어교육인력지원센터를 설치해 영어교육을 국가가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유시민 후보는 “대학의 구조개혁으로 사교육 수요를 없애야 한다”며 “국립대학부터 통합·특성화하고 입시제도를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 후보는 특히 교육재정 GDP 대비 7% 달성 등을 공약했다.
천정배 후보는 “중·고등학교의 교과목 수를 절반으로 줄여 학생들의 부담을 덜겠다”고 밝혔다. 천 후보는 내신에서 고교 1학년 성적을 제외하는 한편 EBS 교육 확대·강화, 대학별 논술시험 폐지 등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민주노동당 심상정 후보는 “입시경쟁과 가난을 대물림하는 교육현실, 맡길 데 없는 아이들, 싸구려 공교육, 교육과정 관료화 등이 현재 우리나라 교육이 직면한 5대 문제”라고 지적했다. 심 후보는 유아부터 고교생까지 무상교육시키고 공교육 인프라를 확충하는 방안 등을 공약했다.
권영길 후보도 “유아부터 대학까지 무상교육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한편 “공교육 강화로 사교육비를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권 후보는 대학입학자격고사 도입, 외국어고·자립형 사립고 폐지 등을 공약했다.
노회찬 후보는 “사교육 문제는 부동산 문제처럼 국민의 신뢰를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교육재정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노 후보는 대학평준화와 특목고 및 자사고 폐지, 대학입학 자격시험 실시, 서울대 학부 폐지 등을 제시했다.
후보별 사교육 문제 해법 이명박 손학규 정동영 이해찬 한명숙 유시민 천정배 심상정 권영길 노회찬 |
<송윤경 기자 kyung@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