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정철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언론개혁’ 첨병에 선 ‘충성심’

[1000자 인물비평]양정철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

양정철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 그는 지난 5월 31일 “나는 (언론말살의) 간신이 아니라 (언론개혁의) 사육신”이라는 요지로 말했다.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가 기자실 통·폐합을 주도하는 사람을 통칭, “사슴을 보고 말이라고 우기는 간신”이라고 비판한 데 대한 대꾸였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노심(盧心·노무현 대통령의 마음)에 가장 밝은 사람은 윤태영 전 청와대 대변인이고 노 대통령에 대한 충성심이 가장 강한 사람은 양정철 비서관”이라고 말했다. “청와대가 주도하는 기자실 통·폐합은 ‘노무현 대통령의 뒤틀린 언론관에서 비롯됐다”는 언론의 비판에 충성심 강한 양정철 비서관이 참을 수 없었는지도 모른다.

그는 종종 언론개혁과 ‘언론 자유창달과 선진화’에 대한 투철한 의지를 보여주기도 했다. 정치적 사안에 대해 비판할 때도 언론을 싸잡아 비난하는 ‘기교’를 발휘했을 정도였다. 그는 2005년 당시 박근혜 전 대표의 사학법 개정반대 장외투쟁에 대해 “박근혜 대표가 가출했다”라고 비판하면서 “조선·동아일보는 왜 (가출을) 말리지 않느냐”고 비판할 정도였다.

그는 사실 노 대통령의 언론관과 일치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생각은 언론개혁에 목소리를 높이던 기자협회보 기자시절에 굳어진 것처럼 보인다. 우신고 1년 선배인 고진화 의원(한나라당)은 “양 비서관이 기자협회보 기자시절에 몇 차례 만났다”고 전제하고 “그 당시에도 언론개혁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언론현장에서 언론개혁을 외쳤던 그는 2002년 대선 당시 노무현 민주당 후보와 인연을 맺었다. 노무현 캠프 언저리에서 언론보좌역을 맡은 게 인연이 되어 공무원으로 승승장구했다. 양 비서관의 이력에서 언론개혁이 그의 소명의식으로 체질화됐을 개연성이 있다는 얘기다.

그가 개혁적 성향을 갖게 된 데는 그의 스승 김진경씨의 역할이 컸다. 재야단체에서 시인으로 꽤 이름이 높은 김진경씨는 한때 우신고 국어교사를 했다. 양 비서관은 김진경씨에 대해 “우리 사회와 조국에 눈을 뜨게 해줬다”면서 “인생항로를 바뀌게 한 은사”라고 감사를 표시한 일이 있다. 김진경씨도 양 비서관보다 조금 뒤에 청와대에 입성, 교육문화비서관을 지냈다. 이 때문에 스승과 제자가 동시에 청와대 비서관을 맡는 보기드문 일이 벌어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 고진화 의원도 한 사석에서 “김 선생님이 없었다면 오늘의 내가 없다”면서 “고교재학 시절에 많은 학생들이 김진경 선생님의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청와대를 물러난 김진경씨는 전화통화에서 “지난 일을 얘기해서 뭐 하느냐”고 말을 아끼면서도 “양 비서관은 학창시절엔 매우 적극적인 학생이었고 청와대 시절에 진지한 자세로 업무에 임했던 것 같다”고 회고했다.

가정을 전제로 한 의문은 무의미하다. 하지만 양 비서관이 언론의 자유와 개혁을 외치던 언론기자협회보 기자였다면 기자실 통·폐합에 대해 어떤 논조의 글을 썼을지가 궁금한 것은 왜일까.

<김경은 기자 jjj@kyunghayng.com>

1000자 인물비평바로가기

주간경향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미지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오늘을 생각한다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밤새 뒤척인다. 겨우내 마음 편히 잠을 자지 못해 머리에 스모그가 낀 듯 무겁다. 창밖을 보니 눈이 내린다. 이상기온이 일상이 돼간다. 기후변화의 징후인 3월 중순 눈 쌓인 풍경은 더 이상 아름답지 않고 불길하다. 자연 시스템의 불안정성만큼이나 정치와 사법 시스템 또한 아슬아슬하다.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둘러싼 사회적 긴장은 한국 민주주의가 직면한 불안정성을 드러낸다. 일만 년간 이어온 기후 안정성과 40여 년이 채 안 된 한국의 민주주의는 기간으로는 비할 데 아니지만, 우리 삶에 당연히 주어지는 조건으로 여겨졌던 점은 흡사하다. 이번 겨울 기후환경이든 정치체제든, 우리가 당연하게 여겨온 것들이 얼마나 쉽게 흔들릴 수 있는지 여실히 드러났다. 기후위기와 정치위기라는 무관해 보이는 두 위기는 사실 그 원인 면에서도 맞닿아 있는데, 효율과 성과가 최우선시되는 과정에서 다른 중요한 가치는 간과했다는 점이다. 한국사회는 산업화하는 과정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법을 배웠지만, 화석 연료 중심의 에너지 구조를 전환하는 데 게을렀고, 정치적 다양성과 세대 간의 이해를 구현하지 못했다. 우리는 경쟁을 통해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지만, 이제는 그러한 방식의 성장이 우리 사회를 갉아먹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