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한나라당 의원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고집불통 저격수, 가시 돋친 독설

한나라당 홍준표 의원은 ‘독설가’다. 인사말도 간담이 서늘하게 하곤 한다. 지난 2월 초 국회의원 식당에서의 일이다. 빨간 점퍼를 입은 홍 의원을 보고 열린우리당 장영달 원내대표가 “왠 빨갱이 행색이야”라고 인사를 건네자 그는 거침없이 “내가 국정원장이 되면 당신은 구속 1호야”라며 받아넘겼다.

‘저격수’라는 별명은 의미 없이 붙은 것은 아니다. 자신이 속한 조직을 비판하는 일조차 서슴지 않아서 붙은 별명이다. 검사시절 슬롯머신 사건수사 과정에서 검찰조직의 폐부를 샅샅이 드러냈다. ‘배신자’라는 오명을 감수해야 하는 일이었다.
정치입문 뒤에도 달라지지 않았다. 선거법 위반 혐의를 받던 그는 1999년 의원직을 사퇴했다. 한 방송에서 ‘홍준표 사퇴 이후’라는 대담프로를 마련했다. ‘DJ(김대중 전 대통령) 저격수’가 사라진 뒤 정국을 전망하는 프로그램이었다. 그가 얼마나 집요하게 공세를 취했는지를 보여주는 예다. 물론 DJ만이 공격 목표는 아니었다. 2002년 대선 당시 “이회창 후보로는 김대중 후보(민주당)를 이길 수 없다”고 직설적 언사를 서슴지 않았다. 그런 그가 다시 한나라당을 향해 쓴소리를 하고 나섰다. 지난 4월 18일엔 “한나라당과 한국 보수세력 전체가 자기혁신을 하지 않으면 올 대선에서 이기기 어렵다”고 일갈했다.

그는 사실 전형적인 자수성가형 인물이다. 그는 당시로서 비명문인 대구 영남고등학교를 나왔다. 동급생보다 몇 년 늦게 고대 법대를 나와 사시에 합격, ‘한국의 피에트로’라는 칭송을 받았다. 그는 “재직 중 검사로서 간직해야 할 비밀이 없다”고 술회했다. ‘지금 만나는 사람과 일에 최선을 다했다’(아리스토텔레스)는 얘기인 셈이다. 그런 솔직함과 순수함은 때론 배신으로 돌아왔다. 최병렬 전 대표로부터의 홀대, 지난 5·31지방선거 후보경선과정에서의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냉대 등도 그 한 예다.

대선을 앞두고 줄서기와 줄세우기가 횡행하는 가운데 자기 고집을 부리면서 좌충우돌하는 모습이 오히려 당당해 보이는 이유는 그의 인생 속에 있는 것은 아닐까.

<김경은 기자>

1000자 인물비평바로가기

주간경향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미지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오늘을 생각한다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밤새 뒤척인다. 겨우내 마음 편히 잠을 자지 못해 머리에 스모그가 낀 듯 무겁다. 창밖을 보니 눈이 내린다. 이상기온이 일상이 돼간다. 기후변화의 징후인 3월 중순 눈 쌓인 풍경은 더 이상 아름답지 않고 불길하다. 자연 시스템의 불안정성만큼이나 정치와 사법 시스템 또한 아슬아슬하다.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둘러싼 사회적 긴장은 한국 민주주의가 직면한 불안정성을 드러낸다. 일만 년간 이어온 기후 안정성과 40여 년이 채 안 된 한국의 민주주의는 기간으로는 비할 데 아니지만, 우리 삶에 당연히 주어지는 조건으로 여겨졌던 점은 흡사하다. 이번 겨울 기후환경이든 정치체제든, 우리가 당연하게 여겨온 것들이 얼마나 쉽게 흔들릴 수 있는지 여실히 드러났다. 기후위기와 정치위기라는 무관해 보이는 두 위기는 사실 그 원인 면에서도 맞닿아 있는데, 효율과 성과가 최우선시되는 과정에서 다른 중요한 가치는 간과했다는 점이다. 한국사회는 산업화하는 과정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법을 배웠지만, 화석 연료 중심의 에너지 구조를 전환하는 데 게을렀고, 정치적 다양성과 세대 간의 이해를 구현하지 못했다. 우리는 경쟁을 통해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지만, 이제는 그러한 방식의 성장이 우리 사회를 갉아먹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