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9 ~ 25
2025.01.19 (일)
자주쓰는 링크
로그인
회원가입
표지이야기
특집&이슈
정치
경제
사회
문화&과학
세계
스포츠
오피니언
연재
검색
연재
주간경향
>
간호사가 보고 있다
(7)인간은 존엄하다
환자들은 인간이길 포기한 것이 아니다
환자에게 바지를 꼭 입히고, 사방에 커튼이나 칸막이를 쳐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상태가 양호한 환자가 화장실을 가기를 원하면 이동형 모니터링 기계를 달고 간호사 동반하에 화장실을 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가? 서울 한 대형병원 중환자실.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없음···
[ 1323호
ㅣ
2019.04.22 ]
(6)제약회사 직원은 왜 우리 회식비를 낼까?
간호병동 회식비를 내주는 이유
의사에게 노골적인 뇌물은 부담… 제약회사, 교묘한 마케팅의 일종
병원에서 일하면서 신기했던 것 중 하나가 제약회사의 직원이 우리 회식비를 내주고 가는 것이었다. 제약회사 직원이 회식비를 낼 때면 늘 비싼 식당에 갔다. 소고기나 일식 코스요리를 먹은 적도 있었다. ‘뇌물을 줄 생각이라면 교수님께나 드릴 것이지 말단 간호사한테까지 이렇게 대접을 ···
[ 1322호
ㅣ
2019.04.15 ]
(5)병원은 합법적인 범죄조직인가요?
병원이 의료법을 위반하는 이유
의료법 어기는 걸 아주 가볍게 여겨… 영업사원이 대리수술까지
의료법을 가장 많이 위반하는 곳은 어디일까? 아이러니하게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나는 그게 병원이라고 생각한다. 병원이 의료법을 가장 많이 어길 수밖에 없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한 요양원 환자들이 2017년 6월 2일 문재인 대통령을 보기 위해 건물 앞에 나와 있다. 이 ···
[ 1321호
ㅣ
2019.04.08 ]
(4)살리지 마세요
환자를 위해 무엇이 최선일까?
각종 의료기계를 주렁주렁 달고 고통스러워하는 연명치료가 옳은 것일까
‘살려주세요’가 아니라 ‘살리지 마세요’라니. 이게 무슨 말인가. ‘DNR.’ DNR은 ‘소생시키지 말아 달라(Do Not Resuscitate)’의 줄인 말이다. 이게 무슨 얘기일까. 지난해 2월부터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
[ 1320호
ㅣ
2019.04.01 ]
(3)간호사가 자살하는 병원, 환자는 안전하지 않다
과도한 업무 압박감, 개인문제일까
중환자실 신입 간호사 2개월 교육받고 ‘독립’… 사고에 대한 불안감에 떨어
서울업무상질병판정위원회는 지난 3월 6일 고 박선욱 간호사의 죽음을 산업재해로 인정했다. 중환자실에서의 교육과정과 긴박한 업무수행, 그리고 간호사 교육의 구조적인 문제로 직장 내에서 적절한 교육이나 지원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고인이 과중한 업무를 수행했고, 이로 인해 정신적인 억제···
[ 1319호
ㅣ
2019.03.25 ]
(2) 교수님 조금만 더 친절해주세요
따뜻한 말 한마디, 인간적인 배려를
몇 달을 기다린 진료 단 몇 분이면 끝나… 어려운 설명 이해하기도 힘들어
“아픈 게 죄지, 아픈 게 죄야.” 환자나 보호자들이 넋두리처럼 흔히 하는 말이다. 너무나 당연한 얘기지만 아픈 건 절대 죄가 아니다. 그런데 왜 아픈 환자들의 입에서 이런 말이 나오게 된 걸까? 병원이미지.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플리커 요즘 TV나 소셜미디어···
[ 1318호
ㅣ
2019.03.18 ]
(1) 환자는 가까운 병원으로 간다
어떤 병원이 좋은 병원입니까? 환자들은 자기가 받은 치료가 제대로 된 것인지 판단하기 어려워
환자는 병원에서 자신의 병에 대한 정보를 얻고 치료를 받는다. 가장 안심하고 편하게 접해야 할 병원이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 병원에 대한 정보와 이를 근거로 한 신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과잉진료는 아닌지, 혹여 잘못 진단을 내린 것은 아닌지…. 인터넷 포털 등을 통해 접···
[ 1317호
ㅣ
2019.03.11 ]
1
이번호 기사 베스트
지난호 기사 베스트
1
(24) 대통령 관저 옛 주인은 해병대…굴곡진 역사 껴안은 땅
2
(34) 최상목 대행, 재량권 행사의 의무와 한계
3
(57) 생체시계 유전자와 검은 롱패딩
4
제멋대로 돌아가는 윤석열 왕국
5
사랑이 이겼다
6
저커버그의 변심과 본심
7
(40) 시국 풍자 봇물 “숨 좀 쉬며 살자”
1
이태원 참사 땐 왜 이렇게 하지 않았을까
2
보수 몰락 자초하는 검사 출신 정치인들
3
중국산 전기차 BYD, 한국서 ‘메기’ 될까
4
사죄 대신 싸우려는 국가, 왜 피해자에 이기려 하나
5
(51) 어떻게 극우를 제거할 것인가
6
(44) 교통사고와의 전쟁…베트남, ‘벌금 폭탄’
7
(60) 남극 케이프워싱턴-혹독한 남극서 피어나는 황제펭귄의 사랑
8
“국가의 2차 가해, 법의 심판 받게 하고 싶었다”
시사 2판4판
공갈빵…
주간 舌전
“이놈들이 홍으로 가나”
오늘을 생각한다
제멋대로 돌아가는 윤석열 왕국
지난 1월 9일, 해병대 전 수사단장 박정훈 대령이 군사법원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판결문에는 왜 항명죄가 성립할 수 없는지 조목조목 열거돼 있다. 요약하자면 박 대령은 법률이 정한 대로 직무 집행을 했을 뿐이고, 국방부 장관이나 해병대 사령관에게는 그 집행을 막을 권한이 없다는 내용이다. 군검찰이 집단항명 수괴라는 무시무시한 죄목으로 수사를 시작한 것이 2023년 8월, 이 단순명료한 판결을 만드는 데 무려 1년 6개월이 걸린 것이다.